AI·양자 등 적용될 미래 네트워크 진화 방향성 수록
[한스경제=조나리 기자] SK텔레콤이 6G 표준화를 위한 핵심 요구사항과 미래 네트워크 방향성을 담은 ‘6G 백서’를 SKT 뉴스룸을 통해 10일 공개했다.
2030년 상용화가 예상되는 6G는 지난 6월 ITU-R 산하 이동통신 표준화 작업반(WP5D)에서 6G 프레임워크 권고(안)이 합의된 후, 올해 말 세계전파통신회의(WRC)-23에서의 6G 후보 주파수에 대한 첫 논의가 진행될 예정이다. 또한 2024년부터 WP5D에서 기술 성능 요구사항 구체화 작업을 앞두고 있는 등 표준화를 위한 초기 단계를 밟고 있다.
SKT는 6G 진화 방법론에 대한 시각, 주파수 표준화 동향에 대한 의견 등을 종합한 백서를 국내 통신사 최초로 출간했다. 백서에는 6G의 유망 서비스 전망과 기술 동향, 예상 주파수에 대한 분석, 발전 방향 및 방법론 등이 담겼다.
아울러 SKT는 백서를 통해 5G를 세계 최초 상용화한 경험에 기반해 6G 시대에 예상되는 사용 시나리오와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한 6G 핵심 요구사항도 제시했다.
SKT가 제시한 6G 핵심 요구사항은 ∆6G 전용 상품 및 서비스 발굴 ∆심플한 아키텍처 옵션 ∆커버리지 감소 극복 기술 ∆사용자 경험 제고를 위한 단말 발열 및 전력소모 절감 기술 등이다.
SKT는 “6G 상용화 시 인공지능과 전력절감, 양자 보안 등의 메가트렌드가 네트워크 전 영역에 걸쳐 확산될 것”이라며 “무선접속망과 코어망, 전송망, 상공망 등 각 네트워크 영역별로 특화된 기술들이 적용되어 진화가 될 것으로 본다”고 분석했다.
6G 백서 발간 외에도 SKT는 다양한 해외 사업자들과의 협업을 통해 6G 초기 표준화 및 기술 생태계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지난 2월 NTT도코모와 ‘6G 요구사항 백서’, ‘기지국 전력절감 기술 백서’를 공동 발간한 바 있다. 또 NGMN, IOWN 등 글로벌 협의체 활동에 참여하고, 인공지능 기반 기지국 등 6G 후보기술에 대해 통신장비 제조사, IT 업체 등과 연구개발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중이다.
SKT 류탁기 인프라기술담당은 “6G 표준화 및 기술 생태계에 대한 리더십을 선점하기 위해 글로벌 통신사들과 노력하고 있다”면서 “글로벌 통신사/제조사간 파트너십 확대해 5G 고도화는 물론 6G 기술 개발을 선도해 대한민국이 글로벌 ICT 선두 국가로 발돋움하는데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조나리 기자 hansjo@sporbiz.co.kr
관련기사
- 삼성, 전경련 복귀 논의...류진 회장, 4대 그룹 품을까
- ‘갤Z 5’ 폴더블 100만 돌파… 이통사가 전망하는 공식 출시 성적은?
- SK텔레콤, 2분기 영업익 4634억원... “AI 컴퍼니로 도약”
- 노태문 자신감 통했나? 갤럭시 Z5 사전예약 2030 인기
- 이동통신 3사, AI 기술로 고객·시민 안전 지킨다
- ‘5G 과장광고’ 과징금에 행정소송 시동 거는 통신3사
- AI 기술 연이어 뽐낸 SKT, 전략적 투자로 글로벌사업 시동
- SK브로드밴드, 세번째 ‘필모톡’ 주인공으로 배우 김남길 초청
- 이통3사 “V 컬러링 차트 신설 이벤트 참여하세요”
- SKT, 기업·공공용 멀티 LLM AI 추진... “금융·제조사 등 확대”
- SKT, ‘0 청년요금제’ 고객에 전기차 증정… 행운의 주인공은?
- 통신사가 이런 일도? 안전사고·재해 예방 나선 이통사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