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코팅재 원료 공급 시작으로 다양한 화학적 재활용 제품 확대
[한스경제=권선형 기자] LG화학이 폐플라스틱을 활용한 원료로 친환경 페인트 시장 공략에 나선다.
LG화학은 8일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삼화페인트와 폐플라스틱 기반의 화학적 재활용 원료 공급에 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LG화학이 친환경 재활용 페인트 원료를 공급하면 삼화페인트에서 모바일용 코팅재를 만들어 최종 고객인 휴대폰 제조사에 공급할 예정이다.
LG화학은 2021년부터 ISCC PLUS 인증을 받기 시작했으며 이번에 공급하는 점착제와 접착제, 페인트 도료 등의 원료로 사용되는 제품을 포함한 50여개 제품에 대해 ISCC PLUS 인증을 받은바 있다.
국제적인 플라스틱관련 정책이 강화되며 친환경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EU(유럽연합)는 재활용이 불가능한 플라스틱에 대해 세금을 부과하는 플라스틱세를 도입하고 미국 일부 주에서는 일회용 제품 제조 시 재활용 소재 사용 의무를 현재 15%에서 2030년까지 30%로 확대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에 LG화학은 2028년 100조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는 재활용 플라스틱 시장 공략을 위해 기계적ᆞ화학적 재활용 기술 역량을 기반으로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보해 나가고 있다. 현재 기계적 재활용 분야에서는 색이 바래는 단점을 극복한 PCR 화이트 ABS를 세계 최초로 상업화 했다.
화학적 재활용 기술 확보에도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화학적 재활용 기술은 물성 변화와 재활용 횟수에 제한이 없어 향후 시장성 더 클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LG화학은 지난 3월 충남 당진시에 연 2만톤 규모의 국내 최초 초임계 기술을 적용한 열분해유 공장을 착공했다.
LG화학 노국래 석유화학본부장은 “고객의 더 나은 미래를 위해 폐플라스틱 재활용 제품을 지속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권선형 기자 peter@sporbiz.co.kr
관련기사
- [1.5℃ HOW] LG화학, 2050년 재생에너지 100% 전환‧넷제로 실현 가속화
- LG화학, 2분기 영업익 작년보다 29.9% 감소…3대 신성장 사업 육성해 위기 돌파
- [1.5℃ HOW] LG화학, 제품 탄소발자국 산정 방식 TUV 라인란드 인증 획득…국내 최초
- [1.5℃ HOW] LG화학, 2022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고객-협력사 잇는 탈탄소 공급망 구축”
- LG화학, 20억달러 규모 외화 교환사채 발행…“성장동력 확보”
- [1.5℃ HOW] LG화학, 전 세계 친환경 혁신 아이디어 모은다
- [1.5℃ HOW] LG, ESG도 재무처럼 관리… “계열사 통합관리 구축”
- LG화학, 유럽 CS센터 개관…“밀착지원 강화”
- LG화학, 伊 최대 에너지 기업 ENI와 차세대 바이오 오일 공장 설립
- LG화학, 모로코에서 LFP 양극재 생산…북미 LFP 배터리 시장 공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