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안민희 기자] 전국이 폭염으로 들끓는 가운데 온열질환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29일 경북도소방본부에 따르면 폭염 날씨에 밭일하던 노인 4명이 온열질환으로 추정되는 사인으로 사망했다.
오후 1시 28분께 상주시의 한 밭에서 일하던 90대 A씨가 폭염에 의식을 잃고 쓰러져 숨졌다. 이후 4시 7분쯤 김천시에 위치한 과수원에서 일하던 80대 B씨도 목숨을 잃었다. 당시 B씨의 체온은 41.1도로 측정됐다.
같은 날 오후 5시 8분께 문경시에서 일을 하던 80대 C씨는 쓰러진 후 바로 병원에 이송됐으나 숨졌다. 당시 C씨의 체온은 40.8도였다. 오후 9시 58분 경산시에 거주 중인 70대 D씨는 밭에서 일하다 쓰러진 채 발견돼 병원으로 옮겼지만 결국 사망했다.
30일 행정안전부와 질병관리청 온열질환 응급실 감시체계에 따르면 지난 26일부터 28일까지 사흘간 발생한 온열질환자는 178명으로 집계됐다.
지난 24일과 25일 온열질환자는 각각 7명, 14명이었다가 장마 종료가 선언된 26일 46명으로 급증했고, 27일 62명, 28일에는 70명으로 늘었다.
감시체계 운영이 시작된 5월 20일부터 지난 28일까지 누적 온열질환자는 938명, 추정 사망자는 3명이다.
특히 이번 주말, 온열질환으로 추정되는 사망사례도 발생해 주말 상황이 통계에 반영되면 공식 집계 숫자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온열질환자 연령대는 65세 이상의 노인이 26.7%로 가장 많고, 50대가 20.9%로 뒤를 이었다.
성별로는 남성이 79.6%, 여성이 20.4%이다. 온열질환 발생 장소는 81.0%가 실외 지역이다. 그중에서도 실외 작업장 32.4%, 논·밭 12.7%, 길가 11.9% 순으로 집계됐다.
시간대별로는 오전 10∼12시 발생이 18.2%, 정오부터 5시까지의 낮 시간대가 52.0%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은 “폭염은 열사병 등의 온열질환을 유발하고, 심할 경우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며 “어지러움이나 두통, 메스꺼움, 근육 경련 등 온열질환 초기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활동을 중단하고 시원한 곳으로 이동해 휴식을 취한다. 또 물을 자주 마시고, 외출·활동을 자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야외 활동이 불가피하다면 챙이 넓은 모자와 밝고 헐렁한 옷을 착용하고, 물병을 반드시 휴대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안민희 기자 minia@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