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한국신용평가 “우발부채와 해외 대체투자 부실화 위험”
여의도 증권가 전경. / 연합뉴스
여의도 증권가 전경. / 연합뉴스

[한스경제=권현원 기자] 증권사들의 부동산PF와 해외대체투자 리스크에 대한 우려가 커져가고 있다. 국내 신용평가사들은 하반기 증권사들의 해외 부동산 익스포저, 브릿지론 등과 관련한 건전성 관리 부담이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신용평가(한신평)가 발표한 ‘2023년 상반기 정기평가 결과와 하반기 산업별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증권업에 대한 산업 전망(Industry Outlook)을 ‘비우호적’, 신용 전망(Credit Outlook)은 ‘부정적’이라 평가했다. 특히 건전성과 관련해서는 “저조한 분양경기 지속 시 자산건전성 저하 압력이 상승할 것이다”며 “2022년 하반기 이후 분양개시한 지방 부동산 사업장의 분양성과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4분기부터 증권업종의 부동산PF 자산건전성 지표의 저하세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신평에 따르면, 자산건전성 지표 중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2022년 3.3%에서 올해 1분기 4.2%로 늘었다. 같은 기간 요주의이하 여신 역시 7.2%에서 9.2%로 증가했다.

금융사의 여신은 △정상 △요주의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로 구분한다. 통상 고정·회수의문·추정손실 등, 고정이하여신은 부실채권으로 분류된다. 요주의여신은 연체기간 1개월 이상 3개월 미만의 채권으로, 현재 부실여신은 아니지만 잠재적으로 신용상태가 악화될 가능성이 있는 여신으로 본다.

증권사 규모별로 대형사는 해외 부동산 익스포저, 중소형사는 브릿지론, 중후순위 본PF대출 부담이 확대된 것으로 집계됐다. 올 3월 기준 대형사의 우발부채·부동산 담보대출·부동산펀드 등의 자기자본 대비 비중은 24%, 중소형사의 경우 11%를 차지했다. 브릿지론, 중후순위 본PF 대출의 비중은 대형사는 22%를 차지했지만, 중소형사의 경우 48%에 달했다.

한신평은 “부동산 경기 둔화로 브릿지론 차환 부담이 확대됐으며, 본 PF Exit 분양률 달성 가능성이 감소했다”며 “해외 상업용 부동산 중심으로 리파이낸싱 부담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하반기 전망에 대해선 증권업의 실적 가변성이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기업금융(IB)부문에서는 PF 신규 딜 감소, 브릿지론 차환 난항 등 실적 감소와, 운용부문에서는 금리 방향성에 따른 이익변동성이 확대될 것으로 추정했다. 투자중개와 자산관리와 관련해서는 비교적 안정적 수익성을 시현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때문에 다각화된 포트폴리오를 갖춘 대형사 대비 IB부문에 의존도가 높은 중소형사의 이익창출력이 저하될 것으로 예상했다.

한신평은 자기자본 대비 해외대체투자 익스포저가 높은 △미래에셋증권 △하나증권 △메리츠증권 △대신증권 등을 중점 모니터링 할 계획이다. 부동산PF와 관련해서는 △하이투자증권 △다올투자증권 등, 부동산PF 관련 부실위험이 높은 업체 중심의 모니터링 계획을 세웠다.

나이스신용평가(나신평)도 통화정책 및 시중금리 변동에 따른 수익성 변동폭이 확대된 가운데 증권업의 부동산PF 및 해외대체투자 관련 부실화 가능성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

나신평은 “2023년 1분기 하락했던 시중금리가 재차 상승하는 가운데 수익구조에 따른 증권사간 수익성 차별화 수준이 확대되고 있으며, 해외 익스포져 및 고위험 부동산PF 관련 건전성 부담이 상존하고 있어 부정적 업황변동에 재무적 대응능력이 열위한 증권사 중심으로 신용도 점검이 이뤄질 계획이다”고 밝혔다.

한국기업평가(한기평)도 부동산PF 리스크와 관련해 저축은행·증권·할부리스 업종을 중심으로 건전성 관리 부담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한기평은 “국내외 통화정책 기조 변화와 부동산 경기 하락으로 부동산 금융 익스포저가 크게 증가해 온 비은행업종을 중심으로 건전성 관리 부담이 크게 증가했다”며 “금융당국이 PF부실 확대 가능성에 대비한 선제적 정상화 및 부실정리 지원 방안을 추진해 2023년 4월 전 금융업권이 참여하는 PF 대주단 협약이 재가동됨에 따라 만기연장 및 신규자금 지원 등 유동성 공급이 이뤄지면서 PF부실위험의 연착륙 가능성은 높아진 상황이다”고 진단했다.

그러나 한기평은 “PF 전반의 사업환경 개선이 이뤄지지 않는 한 건전성 관리 부담은 지속될 것이다”고 전망했다.

권현원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