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성은숙 기자] 국내 모빌리티 산업이 경쟁력을 갖추려면 첨단기술 간 융복합이 활발해져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22일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열린, '제6차 국회 모빌리티포럼'에서 발제자로 나선 고태봉 하이투자증권 센터장은 "전기차, 자율주행은 현대자동차 혼자 힘으로 안되며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가 있기 때문에 한국 전기차가 이렇게 빠른 속도로 될 수 있었다"고 강조하며 "자율주행은 IT 기술의 핵심적 도움이 필요하며 융복합할 수 있도록 무대를 마련해달라"고 당부했다.
국회 모빌리티포럼은 국내 모빌리티산업의 현황을 공유하고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국회 연구단체다. 여야 국회의원 53명으로 구성됐다. 국민의힘 권성동 의원, 더불어민주당 이원욱 의원이 대표의원을 맡고 있다. 이번 포럼은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와 한국모빌리티학회가 공동주관하며, '미래모빌리티 현황과 연결성 경쟁력 강화 방안'을 주제로 진행됐다.
이날 고태용 센터장은 "전기차 관련해 배터리, 모터, BMS(인공지능 기반 배터리 관리 시스템) 같은 기술들이 고도화되고 있고, 자율주행 관련해 인공지능(AI), 빅데이터, 클라우드, 맵핑 등 많은 요소 기술들이 미래 모빌리티에 녹아져 있다"면서 "이것들이 가능해진다면 '낙수효과'가 많은 산업에 미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에 삼성전자, LG전자, SK, 현대자동차 등 모든 대기업들이 서로 힘을 합치지 않으면 안 된다"면서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을 선도하기 위해 사이버(cyber) 분야와 물리적인(physical) 분야의 대통합을 강조했다.
아울러 국가차원에서의 협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대기업, 스타트업, 학계, 국가연구기관 간 협업 뿐만 아니라 정부부처의 규제 완화 및 입법부의 역할도 중요하다는 것이다. 고 센터장은 "자율주행을 하기 위해 지도의 해상도를 높여야한다. 또 적어도 도로망이라도 좌표를 읽게 해달라"고 밝혔다.
고 센터장은 부품산업에 대한 지원도 강조했다. 그는 "로봇과 UAM도 기계산업을 기반으로 한다"면서 "(부품기업들이) 그쪽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힘을 실어달라. 뿌리기술을 절대 포기할 수 없다"고 말했다.
두 번째 발제자로 나선 이재규 법무법인 태평양 변호사는 사이버 보안의 중요성을 제도적 측면에서 다뤘다.
이재규 변호사는 발표 자료를 통해 "자동차에 전자제어장치가 증가하고 통신과 연결되면서 자동차 불법제어 및 프라이버시 침해 등 사이버보안의 중요성이 강조된다"고 했다. 그는 모빌리티 확장에 따른 연결성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고려사항으로 △사이버보안 인증방식의 확정 및 도입 △사이버보안 관련 법령 제정 시 개인정보 및 정보보안 관련 법령과의 관계 설정, 상충 여부 검토·조정 △자동차제작자 및 부품사 등 산업 전반에 대한 진흥·지원 정책 수립 등을 제언했다.
한편 강남훈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회장은 축사를 통해 "아직도 부품업계는 수요처·기술제휴선 확보, 자금 부족, R&D 역량 부족 등 애로사항으로 50% 이상이 내연기관 부품 매출에만 의존하고 있다"면서 '미래차지원 특별법'의 제정을 촉구했다. 강남훈 회장은 "부품업계의 효과적인 미래차산업으로의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서 미래차 클러스트 조성, 규제 특례 마련 등 종합적이고 과감한 정책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다"고 말했다.
성은숙 기자 function@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