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2022년 1,050만대, 2025년 2,200만대, 2030년 4,200만대로 증가
배출량 제로 목표 달성하려면 대형 트럭 관련 정책이 최우선 과제
전기승용차가 2023년 초 2,700만대에서 2026년 1억대, 2040년에는 7억대 이상으로 증가해,  충전 인프라 효율화와 배터리 공급망 구축에 대한 정책 시행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 연합뉴스 제공
전기승용차가 2023년 초 2,700만대에서 2026년 1억대, 2040년에는 7억대 이상으로 증가해, 충전 인프라 효율화와 배터리 공급망 구축에 대한 정책 시행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 연합뉴스 제공

[한스경제=권선형 기자] 전기승용차가 2023년 초 2,700만대에서 2026년 1억대, 2040년에는 7억대 이상으로 증가해, 충전 인프라 효율화와 배터리 공급망 구축에 대한 정책 시행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리서치 기관 블룸버그NEF(BNEF)가 최근 발간한 연례 장기 전기차 전망(EVO)보고서는 “향후 몇 년간 전기차(EV) 보급이 급증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이에 따른 대형 트럭 운송, 충전 인프라에 관련해 더 강력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현재 전기화는 삼륜차에서 대형 트럭까지 도로 운송의 전 부문에 걸쳐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상황으로, 특히 인도, 태국, 인도네시아 등 신흥 경제국에서 속도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보고서의 경제 전환 시나리오에 따르면, 전기승용차 판매량은 2022년 1,050만대에서 2025년 2,200만대(판매량의 26%), 2030년 4,200만대(판매량의 44%), 2040년 7,500만대(판매량의 75%)로 증가할 전망이다. 특히 북유럽, 중국, 독일, 한국, 프랑스, 영국을 포함한 일부 국가의 경우 판매 속도는 훨씬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운행 중인 EV는 2030년 2억4,400만대를 기록할 전망으로, 2040년 전체 차량의 46%인 7억 3,100만대까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도로 운송 부문의 석유 수요는 정점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전기차의 증가로 2027년 전체 도로 연료 수요는 정점에 도달하게 될 것”이라며, “미국과 유럽의 수요는 이미 정점을 찍었고, 중국의 수요는 2024년에 정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2017년에 정점을 찍은 내연기관차 판매는 현재 장기적 감소세에 접어들었다. 전체 차량 판매는 팬데믹과 공급망 대란 이후 계속 반등하고 있지만, 2026년까지 내연기관차 판매는 정점 대비 39%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보고서는 배터리 공급망의 모든 분야에서 대규모 투자가 필요하다고 지적하며, 경제 전환 시나리오에 따르면 2020년대 말까지 배터리 셀과 부품 공장에 적어도 1,880억달러를 투자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 배터리 활용한 직접 전기화, 가장 효율적인 도로 운송 탈탄소화

보고서는 EV와 배터리는 현재 많은 국가들의 산업정책의 핵심으로 향후 수년간 투자 유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보고서는 “각국이 설정한 도로 운송의 장기 배출량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책 입안자와 업계 관계자들이 빠르게 관련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알렉산드라 오도노번 블룸버그NEF 전기차 연구 책임은 “배터리를 활용한 직접 전기화는 도로 운송의 탈탄소화를 위한 가장 효과적이고 경제적이며 상업성이 높은 방법”이라면서도 “대형 트럭 운송, 충전 인프라 및 원자재 공급과 같은 분야에서는 더 강력한 추진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보고서는 2050년까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 제로 달성을 가정하는 넷제로 시나리오를 소개하며, 배출량 제로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많이 뒤처져 있는 대형 트럭을 정책 입안자들의 최우선 과제가 돼야한다고 제언했다. 또한 트럭의 전기화에 필요한 다수의 충전소를 지원하기 위해 전력망 투자, 전력망 연결, 인허가 절차의 효율성 또한 개선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2050년 넷제로를 목표로 설정한 국가는 늦어도 2035년 이전에는 신규 내연기관차 판매의 단계적 중단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며, “이러한 목표는 입법으로 뒷받침 돼야 하며, 중간 목표를 포함한 구체적인 정책 실행에 의해 지원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또 연비 표준 또는 배기가스 CO2 배출 표준을 현재 규정보다 더 엄격하게 수정하고 이행 기간을 연장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정부는 EV 배터리 재활용에 대한 요건과 표준을 수립하고 차세대 배터리 기술에 대한 연구 지원을 계속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권선형 기자

키워드

#전기차 #ev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