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전면 비대면·자동화 한 비과세종합저축…3개월간 1만명 이용
토스뱅크는 지난달 말 기준으로 '비대면 비과세종합저축' 서비스에 3개월간 1만명의 고객이 이용했다고 1일 밝혔다. /토스뱅크 제공
토스뱅크는 지난달 말 기준으로 '비대면 비과세종합저축' 서비스에 3개월간 1만명의 고객이 이용했다고 1일 밝혔다. /토스뱅크 제공

[한스경제=이성노 기자] 토스뱅크가 비대면 비과세종합저축 서비스를 통해 포용금융 실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토스뱅크는 지난달 말 기준으로 '비대면 비과세종합저축' 서비스를 3개월간 1만명의 고객이 이용했다고 1일 밝혔다. 

비과세종합저축에 가입할 수 있는 고객은 대부분 금융 사각지대에 내몰릴 가능성이 높은, 장애인·기초생활수급자 등 사회취약계층이 대상이다. 

토스뱅크에 따르면 ‘비과세종합저축’ 서비스를 이용 중인 고객은 장애인, 기초생활수급자 등 사회취약계층이 약 70% 수준을 차지했다. 해당 서비스는 올 2월 도입 이후, 꾸준한 증가세를 이어오고 있다.

비과세종합저축은 조세특례제한법에 따라 은행이 취급한 저축 상품에 대해 최대 5000만원의 범위 내에서 발생하는 이자 등 소득에 대해 만기까지 비과세 혜택(일반 과세의 경우 15.4% 부여)을 부여하는 상품이다. 

연간 금융소득 2000만원 이하인 고객이 대상이며, 장애인, 기초생활수급자, 고령자(만 65세 이상) 등 사회취약계층이나 국가유공자, 독립유공자와 그 유가족 등 사회를 위해 헌신한 분들이 포함된다. 

그동안 비과세종합저축의 경우 대부분 금융사의 영업점 창구 등 대면 채널을 통해 개설이 이뤄졌다. 장애인 고객들의 경우 직접 장애인증명서를 발급, 은행 영업점에 방문해야 했고, 기초생활수급자인 차상위 계층에 속한 고객들도 창구 가입 과정에서 원치않게 신분을 밝혀야 하는 등 어려움이 있었다. 

토스뱅크는 사회적 배려가 필요한 고객들이 비과세종합저축에 가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에 착안해 이를 해소하기 위해 인터넷은행 최초로 서비스를 기획했다. 

토스뱅크 관계자는 한스경제와의 전화를 통해 “인터넷전문은행의 적극적인 사회적 책무 중 하나가 포용이라는 생각으로 고객들이 느낄 수 있는 불편함의 작은 부분 하나까지 세밀하게 들여다 보고 서비스를 기획하게 됐다”며 “대면 증빙이 필요했던 영역을 IT기술을 통해 전면 비대면으로 구현해내고 있으며, 고객 개개인이 최적화된 금융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사각지대를 줄여나갈 것이다”고 밝혔다. 

이성노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