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한국스마트건설안전협회 '2023 스마트건설안전포럼' 개최
한국스마트건설안전협회가 이달 17일 2023 스마트건설안전포럼을 개최했다. 사진은 공청회 모습. (사진=문용균 기자)
한국스마트건설안전협회가 이달 17일 2023 스마트건설안전포럼을 개최했다. 사진은 행사 중간에 진행된 공청회 모습. (사진=문용균 기자)

[한스경제=문용균 기자] 전체 산재 사고 중 건설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여전히 압도적인 가운데 건설 현장의 안전 문제를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스마트건설안전기술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한국스마트건설안전협회(이하 스안협)는 이달 17일 서울 서초구 ‘The K호텔 본관 3층 거문고홀 A'에서 2023 스마트건설안전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을 통해 스마트건설안전기술의 적용 확대, 활성화를 위해 각자의 입장을 들어보고 우수 사례, 기술 등 정보를 공유했다. 

이날 행사에서 정일국 스안협 회장은 “기업에 몸담고 있을 때 스마트 건설 안전 기술에 대해 이야기하면 ‘그렇다면 정량화해서 설득해봐’가 돌아오는 대답이었다”면서 “이에 완벽하진 않지만 스안협 안전공식을 마련하게 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공식에 따르면 1명을 살리는데 14.5억원이 들어간다는 결과가 나왔다”면서 “한 해 1000명 정도 돌아가시는데 이를 계산하면 1조4500억원이 스마트 건설 안전 기술에 투입돼야 한다는 의미”라고 강조했다. 

1조4500억원은 국토교통부 한 해 예산 50~60조의 3% 정도다. 스안협에선 관련 예산을 따로 만들어야 사망사고를 낮출 수 있다고 설명했다.  

스안협은 스마트 건설 안전 기술로 안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나 공공기관은 △안전 재정확보와 투입을, 연구기관과 학계는 △기술 발굴과 연구 그리고 적용을, △건설사와 제조사는 영업이익의 1%를 스마트 건설 안전 기술에 투입 및 현장 적용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제 스마트 건설 안전 기술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날 스마트건설안전 우수 사례 건설사로 선정된 포스코이앤씨의 경우 건설 현장에 투입하는 이동형 CCTV 예산을 두 배로 늘리며 실제 사망 사고가 낮아졌다고 스안협은 설명했다.
 
이날 포럼에선 공청회도 진행됐다. 국토안전관리원 오광진 소장을 좌장으로  패널로 국토교통부 전진 사무관, 국토안전관리원 박준배 실장, 건설산업연구원 최수영 실장, 현대건설 하주형 팀장, 법무법인 율촌 정유철 변호사가 참석했다. 

가장 먼저 발언한 전진 국토교통부 사무관은 “정부도 스마트 건설 안전 기술(장비)이 사망 사고를 줄일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면서 “스마트 건설 안전 기술 적용 확대를 위해 제도적인 기반을 마련하고 중·장기적으로 건설기술진흥법 개정 등을 통해 활성화될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뒤 이어 하주형 현대건설 팀장은 “스마트 건설 안전 기술 도입 확대를 위해 현장 분들의 의견을 들어봤다”며 “근로자들은 스마트 건설 안전 기술이 개인정보를 제공해야 한다는 점을 들어 거부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통신망과 전기망이 건설현장 초기 단계엔 구축돼 있지 않으니 어떻게 해결할지도 문제”라고 토로했다.

하 팀장은 “스마트 건설 안전 기술 부문은 전통적인 건축, 토목 분야가 아니다 보니 건설사에서 일하더라도 건설기술인 등록이 안된다”면서 “이와 함께 인력 충원 시 분야가 달라 급여 문제도 넘어야할 산”이라고 현실적인 문제를 거론했다.

최수영 건설산업연구원 역시 스마트 건설 안전 기술이 스마트 하지 않다는 지적이 있다면서 업무 효율성, 안전, 비용 등 사용자를 만족 시킬 만한 기술이 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문용균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