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김정환 기자] 우리나라의 연간 노동시간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중남미 국가를 제외하면 가장 길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국회 예산정책처 경제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우리나라의 연간 노동시간은 1915시간으로 OECD 36개국 가운데 4번째로 많다. 멕시코, 코스타리카, 칠레 등 중남미 국가를 제외하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멕시코가 2128시간, 코스타리카 2073시간, 칠레 1916시간 등으로 한국보다 노동시간이 길다.

OECD 평균 노동시간은 연간 1716시간이다. 정책처는 한국과 OECD 평균 노동시간 격차는 2008년 440시간에서 2021년 199시간으로 줄었으나 여전히 격차가 크다고 지적했다. 2021년 기준 한국의 연간 노동시간이 OECD 평균 수준이 되려면 주 평균 노동시간을 3.8시간 줄여야 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주 평균 노동시간은 1980년 53.9시간에서 지난해 38.3시간으로 29%가량 감소했다. 특히 주 52시간 근무제를 도입한 2018년 이후 연평균 2.2%씩 감소했다. 다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여파가 줄어든 올해부터는 노동시간의 감소 폭이 둔화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사진=픽사베이 제공)


 

김정환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