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대통령실은 한미정상회담 앞두고 ‘신중론’
[한스경제=박수연 기자] 미국 정보기관이 우리 대통령실 내부 논의 등을 도청했다는 외신보도와 관련해 야당 의원들은 ‘엄정한 대응’을 예고한 가운데 여당 측은 ‘신중한 태도’를 강조했다.
앞서 지난 8일 뉴욕타임스 등 미국 언론은 SNS를 통해 우크라이나 전쟁 등에 대한 미국 정부의 기밀문건이 유출됐다고 밝혔다. 유출된 문건에는 우크라이나 포탄 지원과 관련해 당시 김성한 국가안보실장과 대통령 외교비서관이 주고받은 대화 내용이 상세히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야권은 동맹국가인 미국이 우리 대통령실을 도청한 것을 두고 “황당무계한 일”이라며 엄정 대응을 예고했다.
10일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최고위원회 회의에서 “일국의 대통령실이 도청에 뚫린다고 하는 것도 황당무계한 일이지만 동맹 국가의 대통령 집무실을 도청한다는 것도 상식적으로 납득 어렵다”며 “앞으로 객관적인 내용을 확인해가며 엄정하게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박홍근 원내대표도 미국의 도청 정황과 관련해 “70년 동맹국 사이에 결코 용납될 수 없는 행위로서 양국의 신로를 정면으로 깨뜨리는 주권 침해이자 외교 반칙”이라고 지적했다.
대통령실의 ‘졸속 이전’ 때문이라는 의혹도 제기됐다. 윤건영 민주당 의원은 기자회견을 통해 “아무런 마스터플랜 없이 대통령실을 국방부로 옮기겠다고 나설 때 급하게 NSC 시스템을 꾸리고 보안조치를 소홀히해 이런 사태가 벌어진 것은 아닌지 명백한 진상조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다만 여당인 국민의힘 측은 사실관계를 확인하는 것이 먼저라며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같은 날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는 당 최고위원회 회의를 마친 후 “우선 사실 확인이 필요하다”며 “어디까지가 사실인지, 도‧감청이 있었는지 자체 조사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태영호 국민의힘 최고위원도 SNS를 통해 “동맹국들 사이에 도청은 있을 수 없다”면서도 “미국 언론 보도 하나로 이를 기정사실화하고 섣불리 정쟁 몰이를 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한미 양국 사이가 벌어지면 가장 득 보는 나라는 다름 아닌 북한, 중국, 러시아 등 자유민주주의 국가와 대척점에 선 국가들”이라며 “지금은 진상파악에 힘을 쏟을 때”라고 했다.
한편 여당 내에서도 강경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된다.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오전 SBS 라디오 ‘진영신의 아침저널’에 출연해 “정보기관은 자기 편, 다른 편 이런 것 없이 모든 정보를 다 수집한다”면서도 “그 행위에 대해서 우리는 주권국가이기 때문에 그 나라가 누구든 간에 따질 건 따지고 사과를 요구할 건 요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통령실 역시 한미 정상회담을 앞둔 시점에서 도‧감청과 관련해 상황 파악이 우선이라는 입장이다. 대통령실 청사에 대한 보완 문제 등에 대해서는 오히려 청와대 시절 벙커 구조보다 용산 대통령실이 더 안전하다며 일축했다.
박수연 기자 ddunip@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