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성은숙 기자] 기아가 중고차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
17일 기아는 정기주주총회에서 정관사업목적에 '금융상품판매대리·중개업'을 추가하는 정관 변경 안건을 의결했다. 이로써 올해 하반기 인증중고차를 판매한다는 계획이다.
현대차그룹 관계자 등에 따르면 기아는 이미 지난 2월 인증중고차 고객센터 상담원을 모집하는 채용공고를 냈다. 앞서 지난해 1월에는 전라북도 정읍시에 자동차매매업 등록을 신청한 바 있다. 현대차·기아가 이곳에 보유한 부지가 자동차매매업 등록 요건(연면적 660㎡ 이상의 전시시설 등)에 충족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아는 '제조사 인증중고차'를 시장에 선보일 계획이다. 기아에 따르면 5년 10만km 이내 자사 브랜드 차량 대상으로 상품화 과정 및 엄격한 품질 인증 검사 등을 거친다. 전기차의 경우 배터리의 잔여수명과 안정성 등을 첨단 진단장비로 측정한 후 최저성능기준을 만족하는 차량만 인증해 판매한다. 아울러 수도권 1개소를 시작으로 인증중고차 전용시설 '리컨디셔닝센터(가칭)'을 구축, 점진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또한 기존 구독서비스와 인증중고차사업을 연계한 중고차 구독상품 을 개발할 계획이다. '선(先)구독 후(後)구매'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대기업의 중고차 업계 진출은 지난해 3월 중소벤처기업부가 생계형 적합업종 심의위원회에서 중고차판매업을 생계형 적합업종으로 지정하지 않는다고 의결해 진작 가능한 상황이다. 다만 중기부의 사업조정 권고안(현대차·기아의 중고차판매업 사업개시 시점 1년 연기 등)에 따라 현대차·기아는 올해 1~4월 시범사업 기간을 거쳐 5월부터 본격적으로 판매할 수 있게 됐다.
한편 대기업의 중고차 시장 진출을 두고 기존 중고차 업계의 반발이 거세다. 지난 14일 한국자동차매매사업조합연합회는 성명서를 내고 "기존 중고차 매매단지에 입주하는 현대자동차의 행위는 '골목상권' 침탈"이라며 강력하게 규탄했다. 이들은 현대자동차의 경기도 용인 오토허브 자동차매매단지 입주 철회를 촉구했다.
이에 대해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오토허브 입주는 판매 목적 보다는 중고차 진단, 정비, 보관 등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골목상권'과 관계없다"면서 "현대차·기아 모두 온라인 중심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현대차·기아는 지난해 4월 기존 업계와 상생협력 및 중고차시장 발전 방안으로 △5년 10만km 이내의 자사 브랜드 인증중고차만 판매 △인증중고차 대상 이외의 물량은 기존 매매업계에 전량 공급 △연도별 시장점유율 제한 △중고차산업 종사자 교육 지원 등을 제시한 바 있다.
성은숙 기자 function@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