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7개사 1500여 부스... 인터배터리 역대 최대 규모
[한스경제=김윤하 기자] 15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2차전지산업 전시회 ‘인터배터리(InterBattery) 2023'가 개막했다. 17일까지 사흘간 열리는 국내 유일 배터리 전문 전시회인 인터배터리 행사는 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온을 비롯한 주요 배터리가 참여해 성과를 보여주며 K-배터리의 기술력을 과시했다.
이번 인터배터리 2023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배터리산업협회, 코엑스, KOTRA가 주관했다.
올해는 477개사 1500여 부스 참가로 전년 대비 104% 증가해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글로벌 에너지 시장 전환에 따라 배터리에 대한 전망과 관심이 높아졌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개막식에는 장영진 산업통상자원부 차관, 박태성 한국배터리산업협회 부회장, 이동기 코엑스 사장, 유정열 코트라 사장 등이 참석했다.
이번 인터배터리 2023 Hall A에는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포스코케미칼, SK넥실리스, 성일하이텍, KoreaZinc, 에코프로비엠, 원익이앤피, 유미코아 등이 참가해 각 사의 배터리 관련 기술과 다양한 형태의 배터리를 선보였으며, 충청북도 기업 공동관, 경상북도 등 유관기관 공동관을 통해 다양한 기업이 참가했다.
Hall A와 붙어있는 Hall B에는 LS Pavilion(LS일렉트릭, LS엠앤엠, LS e-모빌리티솔루션, LS이브이코리아, LS머트리얼즈, LS알스코, LS이링크),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울산테크노파크, 강원에너지, 동원시스템즈 등 배터리 소재 및 부품 배터리 제조장비·공정자동화 관련 기업들이 전시 부스를 마련해 다양성을 더했다.
주요 참가 기업인 LG에너지솔루션(이하 LG엔솔)은 ‘혁신 배터리 기술로 지속가능한 미래 삶을 제시하는 글로벌 리더’를 핵심 주제로 차세대 배터리 및 소재·공정 혁신 기술 등을 선보였다.
Mobility존에서는 파우치형 롱셀을 비롯한 다양한 셀과 모듈을 공개해 눈길을 끌었다. 자유자재로 구부러지는 프리폼 배터리, 가상현실(CR) 고글 등에 사용되는 커브드(Curved) 배터리도 전시했다.
LG엔솔은 관람객이 직접 VR고글을 통해 가상 온라인 전시관의 배터리 기술 및 설명을 듣고 체험할 수 있도록 준비했다.
LG엔솔 관계자는 “LG에너지솔루션만의 차세대 배터리를 생생히 체험할 수 있는 기회”라며, “VR고글을 사용한 가상 전시관으로 고객 경험 요소를 한층 강화했다”고 말했다.
SK온은 작년 ‘출사표를 던지다’는 의미의 ‘파워 온(Power On)’에서 이제는 확장·발전한다는 ‘무브 온(Move On)’이라는 주제로 다양한 형태의 배터리를 선보였다.
SK온은 이번 전시에서 각형 배터리 실물 모형을 전시했다. SK온은 그동안 파우치형 배터리만 생산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번 전시는 달랐다. 각형 배터리를 비롯해 코발트 프리(Co-Free) 배터리와 LFP배터리, 전고체 배터리, 배터리 관리시스템(BMS) 통제를 도와주는 BMIC(Battery Management IC)까지 다양한 개발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었다.
SK온은 현재·적용·미래라는 세 개의 주제로 나눠 부스를 구성했다. 현재에는 배터리 제조 공정이, 적용에는 각형 배터리가, 미래에는 LFP배터리·전고체 배터리·황화물계 전고체 배터리가 자리하고 있다.
SK온 관계자는 “'미래' 파트에 LFP·전고체·황화물계 전고체 배터리를 위치한 이유는 아직 개발 단계에 있기 때문”이라며 “아직 어디에 쓰일 것인지 정해지지 않았지만, 지속적인 기술 개발을 통해 배터리 폼팩터 다각화에 힘쓰고 있다”고 말했다.
삼성SDI는 부스 중앙에 Core Technology존 한 가운데 전고체 배터리를 전시해 초격차 기술을 다시 한번 상기시켰다. Core존을 한바퀴 돌면, 삼성SDI의 각형·원통형·파우치형 배터리를 비롯한 버튼 배터리와 전동공구·ESS등 해당 배터리가 탑재된 주요 애플리케이션을 확인할 수 있다.
삼성SDI의 전고체배터리는 수명을 개선한 무음극 기술이 특징으로, 올해 파일럿 라인 완공과 시제품 샘플 제작을 완료할 계획이다.
현장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각형 배터리인 P5가 탑재된 BMW 뉴 i7이다. P5 배터리는 니켈 함량 88% 이상의 하이니켈 양극재에 실리콘 음극재 기술이 더해져 고에너지 밀도를 구현했다.
이외에도 삼성SDI의 원통형배터리가 2만8000여개 탑재된 볼보 트럭도 볼 수 있었다. 해당 원통형 배터리는 91%의 하이니켈 양극재가 적용됐다.
인터배터리 2023 개막식에서 장영진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은 “배터리 산업이 전 세계 산업시장을 섭렵해 역대 최고의 매출액을 올렸다”며, “윤석열 정부는 세제개편과 규제혁신으로 첨단산업을 지원할 것이며, 민관이 합심해서 배터리 광물 확보에도 힘쓰겠다”고 밝혔다.
최근 IRA 관해서도 ”기회로 활용해 미국 시장에서 90%의 수주율을 보이고 있다”며, “최근 유럽의 각종 입법에 대해 적극적인 대응을 통해 국내 기업에게 득이 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윤하 기자 kyh64@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