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3일, '산업단지 혁신 종합대책' 발표
관계부처와 혁신의 5대 분야, 총 83개의 종합대책 내놔
장영진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 /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장영진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 /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한스경제=정라진 기자]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 60년간 산업화와 경제 상장을 이끌어 온 산업단지를 자율과 혁신이 함께 하는 활력공간으로 바꾸기에 나섰다. 

산업부는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산업단지가 국가경제의 핵심거점으로 다시 한 번 도약할 수 있도록 하는 ‘산업단지 혁신 종합대책’을 3일 발표했다.

산업단지는 2021년말 기준 전국의 1257개 산업단지에 11만여 개 기업들이 입주해 227만여 명을 고용했고 우리나라 제조업 생산의 63%(1104조원), 수출의 66%(4024억달러), 고용의 47%(227만명)를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산업시설·기반시설·근로인력의 삼로(三老) 현상과 함께 생산과 고용 성장세가 둔화됐다. 

이에 산업부는 국토부 등 관계부처와 함께 △산업단지 디지털화△저탄소화△근로△정주 여건 개선△안전강화△입지규제 혁신의 5대 분야에 총 83개 정책과제로 구성된 종합대책을 내놨다. 

이번 대책은 민간이 끌고 정부가 밀어주는 방식이다. 민간이 주도적으로 산업단지 인프라 개선에 참여할 수 있도록 산업단지 관리제도 등을 백지 상태에서 전면 재검토할 예정이다.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94%가 50인 미만 중소기업인 점을 고려해 산업단지 디지털화는 인식 제고에서 출발한다. ‘산업단지 대진단 프로그램’을 추진해 입주기업의 디지털화 실태를 정확히 측정·평가하고 기업별 수준에 맞는 디지털 전환 지원할 예정이다.

산업 부문에서 에너지 사용의 84%, 온실가스 배출의 78%를 차지해 산업단지별 특성에 맞는 탄소저감 전략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산단 내 수출 중소·중견기업들이 글로벌 환경규제에 대응해 나갈 수 있도록 ESG 경영 확산, 사업재편 지원, 산업단지 내 버려지는 자원의 재이용 촉진도 지원할 예정이다.

근로는 저렴한 창업공간 제공, 제조기업 매칭 지원, 청년 일경험 프로그램 제공, 특화교육 실시 등을 통해 청년 창업과 좋은 일자리 창출에 중점을 뒀다.

아울러 산업단지들이 보유한 고유의 가치를 활용해 브랜드산단을 조성하고, 미래형 융복합공간 조성, 도로·주차장·공원 등 기초 인프라 확충과 정비, 탄력적 교통수단 도입, 복합문화센터 건립 등을 통해 근로환경을 개선한다. 

안전·안심 일터 구현을 위해 디지털 기술 적용한 사고 예방시스템과 안전 유관기관 간 협력체계를 구축, 중소기업에 고가의 안전장비를 대여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장영진 산업부 차관은 “산업단지 대책은 곧 우리 제조업 전체의 성장 전략이며 지방시대 실현을 위한 핵심전략”이라며 “산업단지만이 가질 수 있는 장점, 즉 본연의 집적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산업단지와 입주기업이 스스로 변화해 나갈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는 것이 산업단지 정책의 근간”이라고 말했다.

정라진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