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호주 핸콕과 전략적 협력 MOU 체결…철강 외 이차전지 원소재 협력 모색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총리와도 면담
미래 청정 수소 사업 등 주정부 차원 지원 요청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왼쪽)과 지나 라인하트 핸콕 회장 / 포스코그룹 제공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왼쪽)과 지나 라인하트 핸콕 회장 / 포스코그룹 제공

[한스경제=서동영 기자] 최정우 회장 포스코그룹이 리튬, 니켈 등 미래사업 핵심원료 공급망을 직접 챙기기 위해 호주까지 날아갔다.   

포스코그룹은 최정우 회장이 호주를 방문해 리튬, 니켈 등 친환경 미래소재 사업 전략적 투자 자산을 점검하고, 원료 파트너사들과 사업협력을 논의했다고 21일 밝혔다.

최정우 회장은 지난 20일 호주 서부에서 호주 자원개발 기업 핸콕사의 지나 라인하트 회장을 만나 '리튬, 니켈, 구리 등 중요 금속과 철광석 등 광산개발 및 HBI 사업 추진에 대한 전략적 협력 MOU'를 체결했다. HBI란 철광석에서 산소를 제거(환원)한 환원철을 조개탄 모양으로 성형한 가공품을 말한다. 

협약을 통해 양측은 철광석 광산개발 및 철강원료 HBI 생산 등 철강관련 사업뿐만 아니라 리튬, 니켈 등 이차전지 원소재 광산개발 및 가공 등 미래 사업 분야에서도 협력 기회를 모색키로 했다.

최정우 회장은 “포스코그룹과 핸콕은 지난 2010년부터 협력관계를 이어오고 있다. 로이힐 광산 개발 프로젝트 성공을 비롯해 최근 세넥스 에너지를 공동 인수하는 등 매년 협력관계를 확대하고 있다”며 “이차전지 원소재 개발부터 양극재, 음극재 등 제품생산까지 밸류체인을 갖춘 포스코그룹과 광산업에서 우수한 경험과 역량을 보유한 핸콕이 리튬, 니켈 등의 이차전지 원소재 사업을 협력한다면 큰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오른쪽)과 마크 맥고완 서호주 주총리. / 포스코그룹 제공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오른쪽)과 마크 맥고완 서호주 주총리. / 포스코그룹 제공

최 회장은 다음날 광산 개발 및 제련 전문 회사인 퍼스트 퀀텀 미네랄스를 찾았다. 지난해 퍼스트 퀀텀 미네랄스로부터 지분을 인수한 니켈 광업 및 제련 전문 회사 레이븐소프의 원활한 운영을 위한 협조를 당부하기 위해서다. 또한 리튬 원료 개발 및 생산 합작사업 등 활발하게 협력하고 있는 필바라 미네랄스의 회장 등 수뇌부를 만나 리튬 정광 공급 확대와 신규 프로젝트 협력 등을 협의했다.

최정우 회장은 원료 파트너사들과의 만남에 앞서 마크 맥고완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서호주) 주총리를 접견해 “철강, 이차전지 원소재뿐만 아니라 미래 청정수소 분야에서도 호주는 핵심적인 생산, 조달 국가가 될 것”이라며 “포스코그룹이 추진하고 있는 청정수소 사업의 중요한 파트너 국가로써 양국 기업 간 기술 및 투자 교류에 더욱 적극적인 지원을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포스코그룹은 철광석, 리튬, 니켈 등 원료개발을 위해 호주에 4조원 이상을 투자해왔다. 호주가 넓은 부지와 풍부한 태양광, 풍력 자원과 함께 선진적인 법규와 제도 등 우수한 사업환경을 갖추고 있어 해외 청정수소 개발에 최적화된 국가라고 평가하고 있다. 

서동영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