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의 파트너와 초협력 통해 상용화 주도 계획
[한스경제=김재훈 기자] 유영상 SK텔레콤 CEO가 교통 분야의 사회적 비용을 줄일 새로운 해법으로 각광 받고 있는 UAM(Urban Air Mobility, 도심항공교통)에 대해 강한 사업화 의지를 내비쳤다.
유 CEO는 2일 자사 뉴스룸을 통해 “UAM은 막대한 교통 관련 사회적 비용을 해결할 ‘게임 체인저(Game Changer)’”라며 “빠른 속도로 UAM 상용화를 완수해 고객에게는 혁신 서비스를, 주주에게는 무한한 성장가치를, 사회에는 쾌적한 교통환경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UAM은 활주로 없이 수직으로 이∙착륙할 수 있는 비행체를 이용한 도심 내 항공 이동 서비스다. ‘하늘을 나는 자동차’로 불린다. 전기로 구동되어 운용 시 탄소가 발생하지 않으며 한국처럼 수도권에 사회 인프라와 인구가 집중돼 있는 지역의 교통 체증과 환경오염을 해결할 첨단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한국교통연구원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사회 인프라와 인구가 수도권에 집중돼 명목 GDP 대비 교통혼잡비용이 3.5% 수준으로 0.2%인 독일의 18배, 0.9%인 미국의 4배에 달한다. 이를 금액으로 환산하면 약 68조원의 사회적 비용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유 CEO는 “UAM이 상용화되면 교통체증으로 발생하는 이러한 사회적 손실을 크게 줄일 수 있다”며 “또한 UAM에 사용되는 비행체는 전기로 구동되는 만큼 운용 시 탄소가 발생하지 않아 2050년까지 달성해야 할 탄소중립(Net Zero)이라는 전 지구적 목표까지 감안하면 UAM은 단순한 사업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이어 “코로나19는 우리가 상상하지 못하던 속도로 기업 환경과 비즈니스를 재편하고 있다”며 “UAM은 2030년에나 실현 가능한 기술로 여겨져 왔지만 세계적인 혁신 기업들은 그 시기를 앞당기고 있는 만큼 SKT는 2025년 한국 상공에 상용화를 선도하고 2030년 완전 자율 비행서비스가 가능토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SKT는 UAM 상용화를 위해 하늘로도 연결되는 이동통신, 자율주행, 정밀 측위, 보안, AI 등 기반 기술 개발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또 반도체, 배터리 등 SK그룹 관계사의 역량과 UAM 기체 제작 1위 조비 에비에이션(Joby Aviation), 한화시스템, 한국공항공사 등과 초협력 체계를 구축하며 상용화 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유 CEO는 “누군가는 ‘통신사가 UAM에 도전하는 것이 과연 가능한가’ 의문을 제기할지도 모른다”며 “그러나 SKT는 선도적인 이동통신 운용 역량뿐 아니라 자율주행, 정밀측위, 보안, AI 등의 분야에서 쌓아온 기술과 역량, 티맵(TMAP) 등 플랫폼까지 UAM 상용화에 필요한 ICT 인프라를 모두 갖춘 기업”이라 말했다.
이어 “SKT의 핵심 역량을 활용하면 UAM의 예약과 탑승, 지상과 비행체의 통신, 내부 엔터테인먼트, 지상교통과 UAM 이용을 연계하는 플랫폼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며 “여기에 반도체, 배터리, 투자 등 SK그룹 관계사의 다양한 역량까지 더해 국내외 최고의 파트너들과 구축한 초협력 체계도 도전의 밑거름이다”고 말했다.
유 CEO는 UAM이라는 거대한 도전에 나서는 이유를 신사업 철학과 연계해 설명했다.
유 CEO는 “새로운 SKT가 추구할 10년 후 미래사업은 아직 어떤 기업도 선점하지 않았지만 우리나라와 세상을 바꿀 잠재력을 가져야 한다”며 “이에 더해 우리가 겪는 사회 문제까지 해결하면 금상첨화로, UAM은 이 기준에 부합하는 신사업”이라고 밝혔다.
이 밖에 유 CEO는 UAM과 같이 기술 혁신으로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사업을 ‘커넥티드 인텔리전스(Connected Intelligence)라고 정의하며 △인간의 일을 대신하는 로봇 △운전자가 없는 자율주행차 △우주 개척 등 신사업을 점진적으로 준비하겠다고 언급했다.
김재훈 기자 rlqm93@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