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총리 후보자는 “필요한 지원 제공해야”
회생계획안 인가 기한 10월…상폐 사유도 변수
[한스경제=김정우 기자] 재매각을 진행 중인 쌍용자동차가 추가적인 공적자금 지원을 통해 되살아날 수 있을지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상장폐지 위기에 몰린 쌍용차의 명운을 가를 회생계획안 인가 기한은 이제 얼마 남지 않았다.
이동걸 KDB산업은행 회장은 지난 2일 진행된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쌍용차는 본질적 경쟁력이 매우 취약하다”며 “회생법원이 결단을 내려야 할 사안”이라고 말했다. 회생법원의 결정에 따라야 한다면서도 쌍용차의 회생 가능성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내비친 것이다.
이 회장의 발언은 쌍용차 인수 후보자로 거론되는 주체들이 산은의 대규모 지원을 기대하는 데 대한 우려를 표한 것이다. 이미 막대한 자금을 지원한 산은이 추가적인 대출 등 자금 지원을 할 명분이 부족하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현재 쌍용차 인수전은 쌍방울그룹, KG그룹, 파빌리온PE, 이엘비앤티 4파전 양상으로 진행되고 있다.
쌍용차는 평택공장과 창원공장을 담보로 산은으로부터 대출받은 1000억원과 900억원가량의 채무를 포함해 금융권으로부터 2200억원 정도의 대출을 변제해야 하는 상태다. 이밖에 직원 급여와 차량 개발·생산 등에 필요한 운영비도 확보해야 한다.
업계는 쌍용차 인수자금으로 5000억원대 이상이 필요한 것으로 보고 있다. 여기에 채무 변제와 신차 개발 비용 등을 고려하면 약 1조원 이상이 필요하다는 계산이 나온다. 때문에 인수 후보자들도 자금력 확보가 가장 시급한 문제로 꼽힌다.
쌍용차 회생을 위해 정부의 공적자금을 투입하는 방안이 거론되고도 있다. 하지만 이미 2004년 중국 상하이자동차, 2010년 인도 마힌드라에 매각됐다가 다시 경영난에 빠진 쌍용차에 세금을 추가로 투입할 명분이 부족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앞서 에디슨모터스 측이 자금 조달을 위해 8000억원 규모의 대출을 요청했지만 산은이 사실상 거부 의사를 밝힌 것도 이 같은 맥락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차기 정부가 지원에 나설 것이라는 기대감도 상존하고 있다. 지난달 26일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가 인사청문특별위원회에 제출한 서면질의 답변서에서 “쌍용차를 포함한 국내 완성차업계가 해외 경쟁력을 확보하고 친환경차 중심의 산업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도록 필요한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데 따른 것이다.
한 후보자는 쌍용차 회생을 위한 범정부 차원의 대책 필요성에 대해서도 “지역경제 및 고용에 미치는 영향 등을 감안해 향후 회생절차 진행 상황을 지켜보면서 필요한 경우 관계부처와 함께 대응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정부의 추가 지원이 이뤄지는 경우 숨통이 트일 쌍용차는 환영하는 입장이지만, 인수 후보 주체들로서는 늘어날 채무 부담을 계산해야 하는 등 인수전 향방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쌍용차 재매각은 ‘스토킹호스’ 방식으로 진행된다. 공개 입찰을 전제로 조건부 인수 계약을 맺는 계약 방식인 만큼 인수의향자를 확보한 상태에서 더 나은 조건을 제시한 응찰자가 있으면 기존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 자금력이 우수한 주체가 유리한 조건이다.
지난해 4월 기업회생절차를 개시한 쌍용차로서는 회생계획안 법정 인가 기한(1년 6개월)인 오는 10월까지 새로운 인수자를 찾아 회생계획안을 인가받아야 하는 만큼 시간 여유가 없다.
이에 더해 2020년 사업년도 재무제표에 대한 감사의견 거절을 받으며 지난달 14일까지 1년간의 개선기간이 주어졌지만 에디슨모터스으로의 매각 불발로 2021년도 재무제표에 대해서도 감사의견 거절을 받아 상장폐지 사유가 발생, 재매각에 악영향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쌍용차는 하반기 신차 J100 출시를 앞두고 있고 올해 판매 실적이 반등하는 등 경영 상황이 개선될 조짐이 보이는 만큼 자금력과 기술력이 있는 인수 주체로의 매각을 성사시킴으로써 정상화를 이루겠다는 의지를 내비치고 있다. 또 중국 전기차 기업 BYD와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내년 신차 U100 출시를 계획하는 등 전기차 기업으로의 전환도 추진 중이다.
쌍용차 노조는 지난달 기자회견을 통해 “재매각을 추진 중인 쌍용차 입장에서는 상장폐지가 결정될 경우 재매각에 막대한 지장이 초래될 것”이라며 상장폐지 사유 해소를 위한 개선 기간 연장을 요구했다. 노조는 “5만명의 쌍용차 소액주주와 협력업체를 포함해 20만 노동자들의 생존과 직결되는 문제”라고도 덧붙였다.
김정우 기자 tajo81911@sporbiz.co.kr
관련기사
- KG or 쌍방울, 쌍용차 인수로 시너지 창출 가능할까
- 쌍용차, 스토킹호스 방식으로 재매각 본격 추진
- [기차수첩] 쌍용차를 잃고 싶지 않다면
- 쌍용차, 인수 포기 못한다는 에디슨에 “업무방해 말라”
- 쌍용차, 또 감사의견 거절…“재매각으로 상폐사유 해소할 것”
- 쌍용차, 홀로 판매 상승세…"재매각만 잘 되면 되는데"
- 쌍용차, 인수예정자에 KG컨소시엄…자금력 핵심
- 쌍용차, J100 차명 ‘토레스’ 확정…티저 이미지 공개
- 쌍용차 재매각 순항…KG컨소시엄과 조건부 투자계약
- 산업은행 강석훈號 '첫 출근부터 가시밭길'…산적한 당면과제 풀어야
- 쌍용차 재도약 첨병 ‘토레스’ 베일 벗다
- 토레스, 쌍용차 구원투수 될까
- 쌍용차, KG컨소시엄 품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