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식약처 공동사업으로 첨단바이오의약품 제조·생산혁신
첨단바이오의약품 산업생태계 활성화 통한 글로벌경쟁력 확보 목적
[한스경제=김동용 기자] 정부가 6000억원 규모 첨단바이오 생산시스템 기술개발사업에 대한 예비 타당성조사를 추진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첨단바이오의약품의 제조 경쟁력 강화와 글로벌 혁신기술 개발을 목적으로 '첨단바이오 생산시스템 기술개발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조사를 추진하기로 하고 26일 공청회를 개최했다.
2024년부터 2031년까지 총 8년간 진행될 이번 사업은 지난해 6월 정부가 발표한 ‘첨단재생의료·첨단바이오의약품 기본계획’의 후속조치로 이뤄진다. 첨단바이오의약품의 제조·생산역량을 강화하여 제품의 신속한 상용화를 촉진하고, 학·연·병원과 기업 간 연구자원 및 기술개발 협력체계를 구축해 국내 첨단바이오의약품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기획됐다.
그간 정부는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안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시행, '범부처 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 추진 등 본격적인 정책지원을 해왔다.
하지만, 첨단바이오의약품의 높은 치료비용에 따른 수요자 접근성 제한·치료제 중심 투자로 상용화기술 부재 등 문제점이 발견되자,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제조전반의 기술개발이 필요하고, 규제 지원 및 사업화 강화 등 산업생태계 활성화를 통한 글로벌 경쟁력 확보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이번 사업은 △현장수요 중심의 첨단바이오의약품 소재·장비 기술개발 및 의약품 제조기술 개발 등 글로벌 제조·생산기반기술 확보 △첨단바이오의약품 공정설계·자동화 기술 및 품질·유통 관리기술 등 제조품질 안정화 기술개발 지원 △병원-기업 협력 기반 세포원료 제조장비 지원 및 품질고도화 기술개발을 통해 세포원료의 안정적 생산기반 조성 △첨단바이오 산업현장 맞춤형 규제 선진화·기술이전·사업화 연계 강화 및 성과 확산 등 첨단바이오 제조 생태계 활성화 지원 등 4개 부문으로 기획됐다.
정현철 식약처 바이오의약품정책과 과장은 "첨단바이오의약품 분야의 제조·품질관리에 대한 규제 전문성을 바탕으로 산업부와의 협력을 통해 국내 첨단바이오의약품 제조 기술력 확보에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며 "규제과학을 기반으로 사업 전반에 대하여 지원하면서 현장에서 요구하는 첨단바이오 분야 전문인력 양성 지원을 병행하는 등 산업 생태계 기반 강화에도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영만 산업부 바이오융합산업과 과장은 "기존 치료제 중심이 아닌, 첨단바이오의약품의 대량생산 및 산업화를 위해 제조·품질기술 개발을 식약처와 함께 지원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며 "바이오헬스산업의 주력분야로 성장하고 있는 첨단바이오의약품의 제조 및 품질경쟁력을 갖추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공청회 등을 통해 접수된 의견을 반영해 오는 3월 예비타당성조사 신청을 진행한다. 이후 평가를 거쳐 2024년 사업에 착수할 예정이다.
김동용 기자 dy0728@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