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금융DX, 플랫폼 등 23개 사업협력…공동R&D TF조직·운영
KT, 4375억 신한지주 지분 취득…공동사업 실행력, 연속성 확보
사진=KT
사진=KT

[한스경제=김재훈 기자] KT가 신한은행과 인공지능(AI), 메타버스, NTF(대체 불가 토큰), 로봇, 빅데이터 등 디지털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본격적인 미래금융DX(디지털 전환) 사업협력을 추진한다.

KT는 17일 신한은행과 미래성장DX 사업협력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이번 협력을 통해 AI, 메타버스, NFT, 빅데이터, 로봇 등 영역에서 ▲미래금융DX ▲플랫폼 신사업을 중심으로 23개 공동사업에서 본격적인 속도를 낸다. 

우선 미래금융DX 분야에서 KT의 데이터분석, 자연어처리(NLP) 등 AI역량과 신한은행의 금융 데이터 기반으로 차별화된 사업모델을 완성해 시장 성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대표적으로 금융특화 AICC(AI컨택센터)가 있으며 AI기반으로 업무 생산성과 고객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언어모델 개발 등 중장기적 협력을 적극 추진해나갈 계획이다.

신한은행은 이미 선도적으로 AI뱅커가 고객 응대하는 미래형 점포 ‘디지로그(DIGILOG)’를 운영하고 있으며 여기에 KT의 AI, 로봇, 미디어월 등 혁신 솔루션을 더하면 새로운 개념의 미래형 점포로 고도화하고 완성도를 높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외에도 KT와 신한은행은 빅데이터 기반으로 소상공인을 위한 특화 통신·금융 융합 서비스를 개발한다. KT 잘나가게 플랫폼의 입지상권데이터 등과 연계한 대안신용평가 모델을 개발해 출시할 계획이다.

또한 메타버스, 블록체인 등 미래 신기술 협력도 강화한다. 메타버스 얼라이언스를 구축해 KT의 메타버스 플랫폼에 금융 인프라를 탑재해 양사 메타버스 플랫폼의 유통 포인트를 공동 발행하고, 외부 제휴사 메타버스 플랫폼과 연계한 포인트 교환 등 고객의 활동 범위를 넓힐 수 있다. 

또 KT가 보유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양사의 신뢰를 기반으로 한 전자문서 사업도 공동 추진한다. 다양한 유형의 전자계약서, 전자증명서, 모바일 전자고지와 같은 비정형 데이터로 구성된 전자문서의 보관뿐만 아니라 공인전자문서중계자 사업과 연계해 구체적인 사업모델을 발굴할 계획이다.

양사는 이와 같은 다양한 사업협력으로 성공적인 레퍼런스를 확보하게 되면 궁극적으로 글로벌 플랫폼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공동 SI펀드(전략적 투자 펀드)를 조성해 국내외 기술력 있는 벤처에 대한 투자와 컨설팅 사업도 추진한다고 강조했다.

양사는 이후 안정적인 공동 프로젝트 수행과 추가 협력 과제 발굴하기 위해 별도의 공동 R&D TF를 조직한다. KT의 전문 엔지니어들과 신한은행의 금융인프라 전문 인력 등으로 구성할 계획이며, 이를 기반으로 AICC엔진개발, Voice 인증 금융 인프라 개발 등 미래융합금융DX 추가 서비스 개발을 진행한다.

한편 양사는 사업협력에서 장기적인 실행력과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해 지분취득을 결정했다. 다만, 신한은행이 비상장사인 점을 감안해 약 4375억원(약 2.08%) 규모의 신한지주 지분을 취득한다.

신한은행과의 전략적 동맹을 강화하고 윈윈하는 사업협력 구조를 완성해 양사 미래성장DX에 양 날개를 달 것으로 기대된다.

박종욱 KT 경영기획부문장 사장은 “국내 최고 금융 그룹과 최대 디지털 플랫폼 기업과 시너지를 기반으로 다양한 금융 DX 모델을 선보이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고객중심의 차별화된 디지털 융합서비스로 신한은행과 함께 DX 성장의 새 패러다임을 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재훈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