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농진청, 2050 탄소중립 실현 농업기술 개발·현장보급 추진전략 발표 
온실가스 통계자료·저탄소 농업기술·농경지 온실가스 흡수·탄소 저감기술 확산 
2022년 탄소중립 예산 268억원 지원…매년 투자 확대·연구인력 지속 확충 
김두호 농촌진흥청 차장이 12일 전북 전주시 농촌진흥청 기자실에서 '2050 탄소중립 실현 농업기술 개발과 현장보급 추진전략'에 대한 정책브리핑을 하고 있다. / 농촌진흥청 제공
김두호 농촌진흥청 차장이 12일 전북 전주시 농촌진흥청 기자실에서 '2050 탄소중립 실현 농업기술 개발과 현장보급 추진전략'에 대한 정책브리핑을 하고 있다. / 농촌진흥청 제공

[한스경제=김동용 기자] 농축산분야에서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전략이 나왔다. 온실가스 통계자료 구축, 저탄소 농업기술 개발, 농경지 온실가스흡수기능 강화, 탄소 저감기술 확산 등을 통해 정부의 탄소중립 실현을 뒷받침한다는 목표다. 

12일 농촌진흥청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농업기술 개발과 현장보급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 2050년까지 국내 농업생산 환경 반영한 고유계수 64종으로 확대 

농친청은 그간 온실가스 배출통계 정확도 향상 및 통계자료 구축을 위해 우리나라 농업생산 환경을 반영한 고유계수를 34종 개발한 상태다. 기존 개발된 계수는 보완하면서 2050년까지 64종으로 확대하고, 온실가스 배출통계와 산정방식을 선진국 수준으로 개선해 온실가스 감축 이행·평가에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친환경농법으로 알려진 무경운·풋거름작물 재배·돌려짓기를 실천했을 때 농경지에 저장되는 탄수 축적계수를 개발해 온실가스 흡수원으로 인정받겠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온실가스 배출량 선정에 필요한 통계자료를 확충하고, 데이터를 표준화해 농식품부 등 정책부서와 지자체에서 탄소중립에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 플랫폼을 2027년까지 구축할 예정이다. 

◆ 2026년까지 '그린라이스' 개발·보급 

농업 무분 기술 개발과 관련해서는 농업·축산·에너지 분야별 온실가스 감축기술의 농업현장 수용성을 높여 저탄소농업을 확대한다. 

벼 논물관리에서는 중간물떼기 기간을 현행 1주, 내지 2주에서 2주 이상으로 늘리면서 중간물떼기 실시면적을 2030년까지 재배면적의 61%로 확대하기 위해 현장기술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논물 얕게 걸러대기의 효과를 분석하고 2030년까지 면적의 10%까지 보급을 확대하기 위한 계수개발 등으로 논에서 메탄 발생을 줄여나간다. 

또한, 논의 물높이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자동물꼬시스템을 개발하는 등 벼재배 농법의 디지털화로 메탄 발생량을 최소화한다. 질소비료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적정한 비료 사용기준을 적용할 수 있는 작물을 현재 벼 등 226작물에서 2025년 264작물로 확대한다. 

특히, 화학비료를 적게 주고도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벼 품종인 '그린라이스'를 2026년까지 도전과제로 개발해 보급할 계획이다. 

축산 부문에서는 가축분뇨를 활용해 고체연료 펠렛과 수소·일산화탄소의 혼합가스인 합성가스를 만들어 석탄·석유 등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나선다. 그 외 메탄 발생저감 사료를 개발하고 한우 사육기간은 31개월에서 28개월로 3개월 단축한다. 

에너지 부문에서는 태양광·지열 등을 이용한 농업용 냉난방 시스템을 개발해 현장에 적용하고, 온실 수경재배에서 나오는 배출양액 등 농업부산물을 이용해 수소에너지를 생산·활용할 수 있는 기술개발 연구를 중점적으로 추진한다. 

◆ 농경지 탄소저장 메뉴얼 개발…적극 참여 농가에 인센티브 추진 

또한, 바이오차 투입과 피복작물 재배 등을 통해 토양 탄소 저장 능력을 향상 시키고, 과수바이오매스 등 신규 흡수원을 발굴·적용하는 등 농경지 온실가스 흡수기능을 강화할 예정이다. 

농경지 탄소저장을 위한 실천 메뉴얼도 개발한다. 지자체·농업인 등 현장에서 쉽게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농가에는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안을 농식품부와 함께 추진한다. 

아울러 시설원예 작물재배에서 이산화탄소 활용기술을 개발하고, 과수나무의 탄소흡수량을 평가해 농업 분야에서 새로운 탄소 흡수원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 농식품부·지자체 등과 협력해 저탄소 농업기술 확산·사업화 

농진청은 저탄소 농업기술을 현장에서 확산시키기 위해 중앙·지방·민간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탄소 감축기술 21종을 시범사업과 연계하고, 감축기술의 현장실증 사업도 확대한다. 

우수한 민간기술은 농식품부와 함께 사업화를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지자체·농업인단체와는 탄소감축을 위한 '3고(올리고·내리고·유지하고) 실천운동'을 전개하면서 농업인 대상으로 기술정보를 제공하고, 인식확산을 위해 도원 시군센터 연구·지도직을 대상으로 전문인력을 양성할 방침이다. 

농진청은 올해 탄소중립 기술개발을 위해 268억원을 지원하고 매년 투자를 확대하는 한편, 탄소중립 연구인력도 지속적으로 확충할 계획이다. 

박병홍 농진청장은 "탄소중립은 농업 전반에 대전환을 요구하는 도전적인 과제로 꼭 실행돼야 한다"며 "특히 농업은 탄소 배출원이자 흡수원으로써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농촌진흥청 제공
농촌진흥청 제공

 

김동용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