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쏘렌토, 우수한 하이브리드 시스템과 성능·승차감 우수해…다재다능한 차량”

[한스경제=김호연 기자] 현대자동차의 아반떼(현지명 엘란트라)가 ‘2021 북미 올해의 차’로 선정됐다.
현대차는 11일(현지시각) 열린 ‘2021 북미 올해의 차’ 온라인 시상식에서 아반떼가 제네시스 G80, 닛산 센트라를 제치고 승용차 부문 ‘올해의 차’에 최종 선정됐다고 12일 밝혔다.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부문에서는 제네시스 GV80이 최종 후보에 올랐지만 포드 머스탱 마하 E가 뽑혔다. 트럭 부문은 포드 F-150이 선정됐다.
북미 올해의 차 시상은 매년 그해 출시된 차 가운데 최고를 정하는 행사다. 1994년 시작됐으며 미국과 캐나다의 자동차 전문 기자단 투표로 선정한다.
주최 측은 아반떼에 대해 “세단 라인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차량”이라며 “파라메트릭 다이나믹스 테마를 적용한 혁신적인 디자인, 디지털 키와 같은 첨단 편의사양, 연비 등을 높이 평가했다”고 평가했다.
현대차 아반떼가 올해의 차를 수상한 것은 2012년에 이어 두 번째다. 이전까지 북미 올해의 차에 한 번 이상 선정된 차량은 쉐보레 콜벳과 혼다 시빅 등 2대뿐이다.
현대차는 이번 수상으로 2009년 현대 제네시스 세단(BH), 2012년 아반떼, 2019년 제네시스 G70(승용 부문)·현대 코나(유틸리티 부문) 등 총 5번 올해의 차를 수상했다. 기아차가 작년 텔루라이드로 수상한 것을 포함하면 3년 연속 수상이다.
올해는 경우 승용차·SUV·트럭 부문에서 각각 3개 차종씩 총 9개 차종이 최종후보에 올랐다. 이 중 현대·기아차에서만 3개 차종이 포함됐다.
현대차는 “올해는 작년에 이어 한국 자동차가 최종 후보를 가장 많이 배출한 해”라며 “글로벌 자동차 시장 내 최대 격전지로 꼽히는 북미 시장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자동차 브랜드의 높은 위상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아반떼는 작년 3월 로스앤젤레스(LA)를 무대로 전 세계에 최초 공개됐다. 작년 한 해 동안 미국 시장에서 10만대 이상 판매됐다.
올해는 50MPG(약 21.2㎞/ℓ) 이상의 복합연비(미국EPA 예상 연비 평가)를 갖춘 아반떼 하이브리드 모델과 아반떼 N, 아반떼 N라인 등 성능 모델을 추가할 예정이다.

기아자동차의 SUV 쏘렌토는 영국 ‘2021 왓 카 어워즈’에서 ‘올해의 대형 SUV’로 선정됐다.
왓 카 어워즈는 영국 자동차 전문 매체인 ‘왓 카’가 주최하는 자동차 시상식으로, 올해의 차 등을 포함해 차급별 최고의 모델을 선정하고 있다. 올해로 44회를 맞았다.
기아차는 2018년 피칸토(올해의 시티카)가 수상한 데 이어 2019년 니로 전기차(올해의 차), 피칸토(올해의 시티카), 2020년 피칸토(올해의 밸류카), 올해 쏘렌토까지 4년 연속 수상했다.
스티브 헌팅포드 왓 카 편집장은 “쏘렌토는 우수한 하이브리드 시스템과 편안한 승차감, 정확한 조향 성능 및 잘 갖춰진 인테리어 등이 인상적이며, 다재다능한 차량”이라고 선정 배경을 설명했다.
기아차는 작년 9월 영국에서 쏘렌토의 디젤과 하이브리드 모델 판매를 시작했다. 올해 1분기에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모델을 추가로 출시할 계획이다.
김호연 기자 hoyeon54@sporbiz.co.kr
관련기사
- 2020년 국내 친환경차 판매량 첫 20만대 돌파…하이브리드 80%
- 현대 판교점도 가세…국내 백화점 '1조클럽' 매장은 어디?
- 현대 로보틱스, 인공지능 로봇 출시...식음료 서비스 제공
- 한국조선해양, 30만톤급 원유운반선 2척 수주 2000억원 규모
- HMM, 모바일 브로슈어 발간…비대면 영업 활동 강화
- 리콜·가동중단…현대차그룹의 질주, 연초부터 ‘삐꺽’
- [이슈분석] 현대차, 애플과 맞손?…“실현되면 글로벌 판도 격변”
- 기아자동차·카카오모빌리티, 전기차 보급 활성화 MOU 체결
- 쉐보레, 트랙스 SGE 1.4 가솔린 터보 출시
- 기아, ‘리그오브레전드’ 유러피언챈피언십 후원 연장
- 리콜 받은 코나 EV, ‘또 화재’…국토부, 화재원인·리콜 적정성 조사
- 한국지엠, 1월 판매량 3만6126대…전년 比 76.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