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스경제=변세영 기자]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격상 기운이 돌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대형마트는 예외적으로 영업 허용을 검토하고 있다. 원활한 생필품을 보급이 필요한 만큼 영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힘을 받고 있지만, 방역을 우려하는 시각도 거세 합의점이 나오지 못하고 있다.
16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최근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 등이 회원사로 있는 한국체인스토어협회는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시 대형마트를 집합금지 시설에서 제외해 줄 것을 산업통상자원부에 건의했다.
정부가 지난달 개편한 세분화된 사회적 거리두기 5단계 조치에 따르면 3단계에서는 일반관리이용시설 300㎡ 이상의 유통시설에 집합이 금지된다. 영업을 못한다는 의미다. 여기엔 백화점이나 대형마트, 종합쇼핑몰 등이 포함된다.
협회에 따르면 대형마트 측은 3단계 격상에도 영업 허가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대형마트는 식품과 같은 생활필수품을 취급하는 필수시설로 재난 시 어느 때보다 그 역할이 중요해지기 때문이다.
아울러 대형마트 영업을 금지하면 중소형 마트로 사람이 몰려들어 방역이 어려워지는 연쇄적인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게 이들의 입장이다.

더 나아가 21시 이후 영업제한 해제도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서울은 지난 5일, 수도권은 지난 8일 2.5단계 시행과 함께 대형마트를 비롯한 백화점 등 대규모 점포의 오후 21시 이후 영업을 금지하고 있다. 원활한 생필품 유통과 고객들의 쇼핑분산을 위해서라도 저녁 9시 이후 영업제한을 해제하고, 더 나아가 한시적으로라도 월 2회 일요일 의무휴업까지 멈춰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
이와 관련 산업부는 3단계 격상 시 대형마트 영업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전해진다. 생활밀접 시설이니 만큼 사재기를 방지하고 원활한 생필품 공급을 위해 예외적인 허가가 필요한 데 어느 정도 동의한 셈이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마스크를 쓰고 벗는 음식점이나 카페와는 달리 대형마트 등 대규모 점포는 방역수칙을 철저하게 준수한 채 고객들이 쇼핑을 한다. 그러다 보니 오히려 집단 감염 발생은 없지 않았느냐”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원활한 생필품 유통이나 이런 부분을 위해서라도 영업이 허용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라고 설명했다.

반면 방역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거세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16일 0시 기준 이날 신규 확진자는 1078명이다. 직전일(880명)보다 198명 늘어난 수치다. 지난 13일 1030명을 기록한 후 다시 1000명대로 치솟으며 역대 최다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다. 국민적 차원에서 강화된 방역조치 필요성이 인식되는 만큼, 방역당국은 대형점포 시설의 영업허용을 까다로운 입장을 보이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 때문에 아직까지 방역당국과 산업부 간 제대로 된 합의가 이뤄지지 않는 상황이다.
체인스토어협회 관계자는 “3단계 시 대형마트 영업과 관련, 부처 간 협의가 필요하다. 아직 결정된 건 없다”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정례 브리핑에서 "지난 한 주간 전국의 하루 평균 환자 수는 약 833명으로, 거리두기 3단계를 검토할 수 있는 기준 범위에 진입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3단계는 최후의 강력한 조치로, 자영업자의 광범위한 피해를 야기하기에 각 중앙부처와 지자체, 생활방역위원회를 포함한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며 단계 상향에 대해 깊이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변세영 기자 seyoung@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