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스경제=조성진 기자] 국내 생명·손해보험업계의 1∼3분기 당기순이익이 지난해 동기 대비 6% 이상 증가했다.
금융감독원이 24일 발표한 '보험회사 경영실적(잠정치)'에 따르면 올해 1∼9월 생명·손해보험업계의 당기순이익은 5조5747억원으로 5조2552억원을 기록한 지난해 동기 대비 3195억원(6.1%) 늘었다.
생명보험업계의 1~9월까지 당기순이익은 3조1515억원으로 3조569억원을 기록한 지난해 동기 대비 946억원(3.1%)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는 저금리 기조 장기화 영향으로 생명보험업계의 이자수익이 4592억원 감소한 데 따른 것이다.
같은기간 손해보험업계의 당기순이익은 2조4232억원으로 2조1983억원을 기록한 지난해 동기 대비 2249억원(10.2%) 증가했다. 손해보험업계의 이자수익은 지난해 동기 대비 1867억원 감소했으나, 코로나19 영향에 따른 자동차·장기보험 손실 감소 등으로 손해율이 감소했다. 이 영향으로 손해보험업계의 보험영업손실은 3조1825억원으로 3조7253억원을 기록한 지난해 동기 대비 5428억원 감소했다.
생명·손해보험업계의 1~9월 당기순이익 중 투자영업이익은 모두 감소했다. 생명보험업계는 18조5693억원으로 18조6677억원을 기록한 지난해 동기 대비 984억원(0.5%) 감소했다. 손해보험업계 역시 6조6040억원으로 6조7452억원을 기록한 작년 동기 대비 1412억원(2.1%) 감소했다.
금융감독원은 ‘금융자산 처분이익이 발생했지만 환율·금리 하락으로 외화환산이익과 이자수익이 모두 감소하면서 투자영업이익이 줄었다’며 ‘투자여건 악화에 따라 향후 고위험 업종에 투자한 자산의 손실이 발생하는 등 대체투자 부실화가 우려되는데다, 저금리 기조로 인한 보유채권 이자수익 감소 등으로 향후 수익성 개선여부도 불투명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생명·손해보험업계의 수입보험료는 152조4284억원으로 145조1309억원을 기록한 지난해 동기 대비 7조2975억원(5.0%) 증가했다. 업계별로 보면 생명보험업계는 81조5401억원으로 78조1969억원을 기록한 지난해 동기 대비 3조3432억원(4.3%) 증가했다.
손해보험업계는 70조8883억원으로 66조9340억원을 기록한 작년 동기 대비 3조9543억원(5.9%) 증가했다.
수익성을 나타내는 총자산이익률(ROA)은 전체 보험사 기준 0.59%로 지난해 동기와 같은 수치를 유지했다. 자기자본이익률(ROE)은 5.47%로 5.73%를 기록한 전년 동기 대비 0.26%포인트 하락했다. 특히 생명보험사의 ROE는 4.61%로 5.02%를 기록한 작년 동기 대비 0.41%포인트 낮아졌다. 손해보험사의 ROE는 7.56%로 7.12%를 기록한 작년 동기와 비교했을 때 0.44%포인트 증가했다.
생명·손해보험업계의 총자산은 9월말 기준 1291조6306억원으로 1223조6068억원을 기록한 지난해 9월말 대비 68조238억원(5.6%) 증가했다. 자기자본은 141조8177억원으로 132조5929억원을 기록한 작년 동기 대비 9조2248억원(7.0%) 증가했다. 이는 이익잉여금 및 매도가능증권 평가이익이 증가하는 등의 영향으로 해석된다.
금융감독원은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영업여건 및 투자환경 악화 등으로 보험회사의 장기 수익성, 재무건전성의 동반 저하가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금융시장 변동성, 과도한 영업경쟁, 대체투자자산 부실화 등 주요 위험 요인에 대한 상시감시를 강화하는 한편, 새 국제회계기준(IFRS17) 도입 대비 및 변동성에 대한 손실흡수능력을 높이기 위해 선제적인 자본충실화를 유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조성진 기자 seongjin.cho@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