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APEC 3대 성장축 전략으로 지역 산업·경제 혁신 추진
AI·디지털 콘텐츠·글로벌 투자 플랫폼으로 지속가능한 성장 견인
| 한스경제=손철규 기자 | 경상북도가 APEC 2025 KOREA의 성공적 개최를 계기로, 지역의 국제 네트워크와 글로벌 브랜드 가치를 지속 가능한 성장 동력으로 연결해 ‘글로벌 혁신경제 허브’로 도약하겠다는 전략을 발표했다.
APEC 정상회의와 연계해 경북은 1,700여 명의 세계적 경제인을 포함한 3만 명의 방문객을 맞이했으며, 약 13조 8천억 원 규모의 투자유치와 7조 4천억 원 이상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창출하며 국제적 주목을 받았다. 경상북도는 이를 기반으로 산업·경제 구조 혁신을 견인할 ‘3대 성장축 전략’을 본격 추진한다.
1. 아·태 AI센터 – AI 혁신의 중심지
APEC 정상들은 AI를 회복력 있는 성장과 포용적 번영의 핵심 동력으로 규정하고, ‘APEC AI 이니셔티브’를 채택했다. 이에 따라 한국 주도로 ‘아·태 AI센터’ 설립이 공식화됐다.
경북은 자동차 부품, 이차전지, 철강, 반도체 등 산업AI 테스트베드 최적지로 평가받고 있으며, 포스텍, KIRO, RIST 등 세계적 연구기관과 협력체계를 구축해 AI 혁신 생태계를 조성 중이다.
아·태 AI센터는 AI 윤리, 표준, 정책, 인재양성 등 국제 논의의 구심점 역할을 수행하며, 경북 5대 도시권과 연계해 대한민국 AI 미래 공동체를 구축하는 핵심 엔진으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다.
2. 경북 글로벌 CEO Summit – 글로벌 비즈니스 플랫폼
경북은 경주를 중심으로 글로벌 기업 CEO, 산업 전문가, 정부 관계자 등이 참여하는 ‘Post-APEC 경북 글로벌 CEO 서밋’을 창설한다. 이 서밋은 단순한 교류를 넘어, 투자유치와 산업 동반성장을 촉진하는 글로벌 비즈니스 플랫폼이 될 전망이다. AI·에너지 등 첨단 기술 분야 테크 포럼과 함께 개최되며, ‘다함께 잘사는 글로벌 미래공동체’를 주제로 아·태 개발도상국의 참여를 확대해 글로벌 포용성을 강화할 계획이다.
3. APEC 퓨처스퀘어 – 미래산업 국제교류 상징
경주엑스포대공원 일원에 조성될 ‘APEC 퓨처스퀘어’는 총 400억 원 규모로, 글로벌 기업·스타트업·연구기관이 참여하는 국제 공동창작 플랫폼이다.
디지털휴먼, 3D 콘텐츠, AR·VR·MR 등 실감형 콘텐츠 제작 인프라를 구축하고, 글로벌 공동창작 지원, 국제 협업 프로그램, 인력교류 확대 등 국제 교류 활동을 본격 추진한다. 특히 경주타워 투명 LED 미디어파사드는 AI 기반 초실감 미디어 실증 공간으로 활용되며, 체류형·참여형 관광과 디지털 문화산업이 결합된 미래형 혁신 생태계의 중심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APEC 2025 KOREA의 성공적 개최는 경북이 세계 경제 무대로 도약하는 전환점”이라며 “포스트 APEC 시대 3대 성장축 전략으로 대한민국과 세계를 잇는 글로벌 혁신경제 모델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경북의 이번 전략은 단순한 국제행사 성과를 지역 경제 발전과 산업 혁신으로 연결한 모범적 사례다. 특히 AI센터 유치와 글로벌 CEO 서밋, 퓨처스퀘어 구축 등 3대 성장축은 기술·산업·관광·문화가 유기적으로 결합된 혁신 플랫폼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그러나 향후 지속적 성과를 담보하기 위해서는 지역 기업의 실질적 참여 확대, 국제 협력 프로그램의 체계적 운영, 지역 인재 육성 등 구체적 실행력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손철규 기자 sonck55@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