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스경제=김두일 기자 |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비서실장 조혜진이 23일 자신의 SNS를 통해 경기도의회 의회운영위원장을 향해 공개적으로 “운영위원장직에서 내려오라”고 요구하면서 정치권과 의회 내부에 충격을 주고 있다. 사실과 다른 주장을 기반으로 한 공개적 직무 개입이라는 비판과 함께, 광역단체 비서실장이 의회 자율권을 침해했다는 우려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조 비서실장은 글에서 운영위원장을 “성희롱 범죄 피고인”으로 지칭하며 사회권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주장했으나, 해당 사건은 성희롱이나 성폭력 사건이 아닌 남성 간 대화에서 모욕적 표현이 있었다는 혐의에 불과하며 정식 공판도 열리지 않은 상태다. 의회 관계자는 “사실관계가 다른 사안을 성희롱 프레임으로 몰아가는 것은 심각한 왜곡”이라고 반박했다.
문제는 직무 정지나 사퇴 요구가 사실상 의회 운영에 대한 개입이라는 점이다. 의회운영위원장의 선출과 사회권 부여는 의회 내부의 고유 권한으로, 행정부 소속 비서실장이 관여할 수 있는 영역이 아니다. 정치권에서는 “행정부가 입법부 구성과 직무에 개입한 전례 없는 사례”라며 우려를 표하고 있다.
정무라인 본연의 역할은 갈등 조정과 의회 협력, 정책 소통이지만, 조 비서실장은 이번 사안에서 의회와 상임위원장을 정조준하며 갈등을 확전시키는 행보를 보였다. “성희롱 방조 조직”이라는 인상을 주는 표현과 공개적 사퇴 요구는 정무라인이 갈등 완화가 아닌 정치투쟁에 개입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번 사건은 단순한 개인 간 충돌을 넘어 김동연 도정의 리더십과 의회 존중 기조를 흔드는 국면으로 번지고 있다. 한 도의회 관계자는 “정무수석과 비서실장이 의회와 공개 충돌하는 상황은 매우 비정상적”이라며 “집행부의 정치 공세가 도정 운영에 치명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사태는 ▲사실관계가 부정확한 내용 기반의 공개 정치행동 ▲광역단체 비서실장의 의회 구성 개입 ▲정무라인이 갈등 조정이 아닌 갈등 유발자로 등장한 점 등 세 가지 중대한 문제를 남겼다.
의회 관계자들은 “김동연 지사가 정무라인을 재정비해 의회와 신뢰 회복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특히 조 비서실장의 공개적 정치 간섭행위는 사실상 경기도의회를 향한 ‘정면 충돌 선언’으로 받아들여지며, 향후 경기도정 전반에 미칠 파장이 주목된다.
김두일 기자 tuilkim@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