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스경제=하태민 기자 | 국제적 멸종위기종인 저어새가 전남 순천만 무인도서에서 처음으로 번식하는 사실이 확인됐다. 그동안 순천만에서 해마다 30여마리 저어새가 관찰됐지만 번식 여부가 직접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순천시와 (재)한국의갯벌세계유산등재추진단은 '한국의 갯벌 물새류 정밀 번식 모니터링' 조사 과정에서 저어새 번식 장면을 포착했다고 24일 밝혔다. 조사 결과 저어새는 순천시 별량면 일대 무인도서에서 번식지를 조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진단은 망원경과 드론을 활용한 관찰 과정에서 둥지 위에 앉아 있는 저어새 모습을 촬영했다. 해당 무인도는 곰솔·칡·누리장나무 등이 분포하고 왜가리·중대백로·민물가마우지 등이 집단 번식하는 자연성이 높은 섬으로 저어새 번식지 조건을 갖춘 것으로 평가됐다.
저어새는 1995년 전 세계 개체수가 400여마리로 보고된 국제적 멸종위기 조류다. 국내외 보호 활동이 이어지면서 최근에는 7000개체 수준으로 회복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 세계 번식지 대부분이 서해안 무인도에 집중된 가운데 남해안에서 번식이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추진단은 "순천만 인근 무인도서에서 번식 시도는 회복 중인 저어새 개체군이 새로운 번식지로 확장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중요한 사례"라고 설명했다.
시 관계자는 "순천만은 그동안 저어새 주요 기착지로 알려졌으나 번식 여부는 미확인 상태였다"며 "이번 조사로 순천만이 번식지 기능까지 수행한다는 사실이 처음 입증된 만큼 물새류 번식지 보호와 모니터링을 강화해 보전 활동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하태민 기자 hamong@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