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주 참여 확산 위한 첫 현장 설명회
의성 시범사업 → 안동·영양·청송·영덕 등 전 피해지역 확대 추진
| 한스경제=손철규 기자 | 경상북도가 초대형 산불 피해지 복원과 지역경제 회복의 새로운 모델로 추진 중인 ‘산림경영특구’ 사업이 본격 가동됐다. 도는 특구 지정의 첫 단계로 21일 의성군 점곡면사무소에서 산주 설명회를 열고 제도 이해도 제고와 참여 확대를 위한 현장 소통에 나섰다.
■ 산주 직접 만나 설명… “이해와 참여가 핵심”
설명회에는 경북도·의성군 관계자, 산림조합, 용역사, 산주 등이 참석했다. 경북도는 △산림경영특구의 개념 △추진 배경 △단계별 사업 계획 △특구 지정 시 지원사항 △참여 산주 혜택 등 제도 전반을 상세히 안내했다. 산주 질문과 의견을 직접 듣는 시간도 비중 있게 진행되며 적극적 소통이 이뤄졌다.
■ 10월 시행된 ‘초대형 산불 특별법’ 기반… 공동·규모화 경영이 핵심
산림경영특구는 지난 10월 28일 공포·시행된 ‘경북·경남·울산 초대형산불 피해구제 및 지원 등을 위한 특별법’에 따라 신설된 제도다. 개별 산주가 혼자 하기 어려운 산림경영을 공동·협업 기반으로 규모화하여, 산림 회복은 물론 안정적 경제수익 창출 구조를 만드는 것이 핵심이다.
■ 의성 점곡면 500ha, 첫 시범지… 전소된 사업지 ‘새로운 기회’로
경북도는 올해 3월 발생한 초대형 산불로 큰 피해를 입은 의성군 점곡면 동변리 일원 500ha를 시범 특구로 선정할 계획이다. 이 지역은 2018년 선도 산림경영단지로 지정돼 산림사업을 진행해 왔으나, 이번 산불로 전역이 전소되는 큰 피해를 입었다. 경북도는 시범사업을 통해 새로운 산림경영 모델을 정립하고, 산주 신뢰 기반을 강화하겠다는 목표다.
■ “의성에서 시작해 경북 전역으로”… 단계적 확대
경북도는 의성 시범사업 결과를 토대로 안동·영양·청송·영덕 등 다른 산불 피해지역까지 특구 지정을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산림경영특구를 ‘피해 산림의 체계적 복원 + 지역경제 회복 거점’으로 육성해 실질적 경제효과를 내겠다는 구상이다.
■ 경북도 “산주가 주인 되는 협력형 모델”… 참여 독려
조현애 경북도 산림자원국장은 “산림경영특구는 행정이 일방적으로 추진하는 사업이 아니라 산주와 함께 만들어가는 협력형 모델”이라며 “피해 산림을 단순 복원이 아니라 새로운 소득의 숲으로 재탄생시키는 과정에 산주들이 적극 참여해 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경북도가 추진하는 산림경영특구는 단순한 산불 복구 사업이 아니다. 피해 산림을 ‘경제적 자산’으로 전환하려는 새로운 접근이자, 산주를 중심에 둔 협업형 모델이라는 점에서 기존 산림정책과 결이 확연히 다르다.
그러나 제도 성공의 관건은 명확하다. 산주 참여율과 경제성 확보다. 행정의 설계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산주가 실질적 이익을 체감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돼야 한다. 의성 시범사업이 성공 모델로 자리 잡을 경우, 경북의 산림정책은 산불 복구를 넘어 ‘수익형 산림경영’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여는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손철규 기자 sonck55@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