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성군, ‘의성키움센터’ 돌봄 모델 전국 확산 가능성 인정
| 한스경제=손철규 기자 | 경상북도와 의성군이 20일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5 균형발전사업 우수사례 시상식에서 지방시대위원장 표창을 동시에 수상했다. 이번 시상식은 2025 대한민국 지방시대 엑스포와 연계해 전국 자치단체와 중앙부처의 균형발전 우수사례를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경북도는 전국 최대 규모의 기회발전특구 지정 및 첨단산업 투자 유치 성과가 높게 평가됐다. 포항·구미·안동·상주 지역에 총 152만 평 규모의 특구를 확보해 전국 최상위 수준의 면적을 갖췄으며, 이를 기반으로 이차전지, 바이오, 반도체 등 국가 전략산업의 핵심 기업 유치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특히 엑스포 기간 동안 경북도는 대구시와 공동으로 통합전시관을 운영하고, ‘자연과 공존하는 미래, 오이소!! 대구·경북’이라는 슬로건 아래 초광역SOC, 미래전략산업 육성, 문화·관광 산업 등을 소개했다. AI 휴머노이드 전시, 체험 프로그램 등 관람객 참여 콘텐츠도 큰 호응을 받으며 지역 혁신 이미지를 강화했다.
의성군은 주민 참여 기반의 보육 플랫폼 ‘의성키움센터’ 운영 성과로 우수사례에 선정됐다. 의성키움센터는 안전교육, 문화·체험 프로그램, 놀이활동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합 돌봄공간으로, 누적 이용자 수가 3만5천 명을 넘는 등 지역 가정의 돌봄 부담을 실질적으로 완화했다.
특히 주민 참여형 운영 구조를 통해 아이·학부모·지역사회가 함께 성장하는 ‘의성형 공동체 돌봄 모델’을 정착시키며, 인구감소 시대에 대응하는 선도적 사례로 평가받았다.
경북도와 의성군은 이번 수상을 통해 지역 주도 균형발전의 대표 모델로 인정받았으며, 향후 전국 지자체로 확산 가능한 우수정책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이번 수상은 경북이 그동안 추진해 온 투자 기반 조성과 산업 전환 노력이 결실을 맺은 것”이라며 “기회발전특구를 중심으로 기업과 인재가 모이는 경북을 만들기 위해 혁신을 계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경북도와 의성군의 이번 동반 수상은 ‘투자 기반 확충’과 ‘생활 밀착형 돌봄 혁신’이라는 상이한 분야에서 동시에 성과를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경북도는 산업 전환을, 의성군은 지역 공동체의 회복과 보육 문제 해법을 제시했다. 두 사례는 지방소멸 위기를 정면 돌파하기 위한 지역정책의 방향성을 보여주는 모델로 평가할 만하다.
손철규 기자 sonck55@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