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스경제=하태민 기자 | 전남 광양시가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최종 지정되면서 지역 철강산업 위기 극복을 위한 국가 차원 지원을 받게 됐다. 광양시는 산업통상부가 17∼19일 개최한 산업위기대응심의위원회 심의 결과 20일자로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지정으로 향후 2년간 긴급경영안정자금,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우대, 중소기업 금융지원(만기연장·상환유예), 협력업체·소상공인 금융지원 등 정부 지원이 대폭 확대된다. 시는 이를 통해 철강산업 구조적 어려움을 해소하고 미래지향적 산업전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는 올해 초부터 철강산업 위기 대응을 위해 선제적인 대응체계를 구축해왔다. 2월에는 포항·당진시와 긴급대책회의를 열고 공동건의문을 발표했다. 트럼프 2기 관세정책 대응 간담회, 지역 상공회의소 공동건의, 여수·순천·광양 3개 시 경제위기 극복 공동선언 등을 통해 협력 대응을 이어왔다. 광양시의회도 철강산업 위기 극복 촉구 성명을 발표하며 지역 차원 대응 의지를 모았다.
전남도와 권향엽 국회의원실, 정부 부처와 협력을 강화해 전남 철강산업 위기대응 협의체 출범, 위기대응 지원사업 추진, 산업부와 실무 논의 등을 지속하며 지정 필요성을 적극 설명해왔다.
이러한 노력으로 시는 9월 30일 지정 신청서를 제출했고 10월 21일 산업부 실사단이 광양국가산단을 방문해 산업 의존도, 고용여건, 중소기업 경영 상황 등을 점검했다. 시는 실사 과정에서 제기된 보완 요구에 대해 신속·정확하게 자료를 제출하며 지정 타당성을 충분히 입증했다고 설명했다.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에 따라 내년부터 광양시에는 보통교부세 가산분이 교부될 예정이다. 시는 이를 2026년 제1회 추가경정예산에 반영해 지역 산업위기 대응사업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시는 산업경쟁력 강화와 미래 성장 기반 구축을 위한 '광양형 산업위기대응 패키지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고용지표 악화에 대비해 '고용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도 준비 중이다. 시는 산업부·고용부·중기부 등 관계부처와 협력을 강화해 R&D·고용·산업전환 관련 예산 확보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정인화 시장은 "철강산업의 위기를 산업전환 기회로 삼아 광양이 다시 한 번 제조산업 심장으로 도약할 것"이라며 "기업이 존중받고 시민이 함께 성장하는 지속가능한 글로벌 미래도시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하태민 기자 hamong@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