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스경제=정평국 기자 | 전남 영암군이 목재문화체험장에서 개최한 ‘2025 대한민국 한옥문화 비엔날레’가 5만명의 방문객을 유치한 가운데 성황 속에 막을 내렸다.
가을 하늘과 월출산을 배경으로 목재문화체험장과 구림한옥마을 등에서 펼쳐진 비엔날레에는 영암군민 3만명, 관광객 2만명이 다녀간 것으로 집계됐다.
비엔날레는 1일 1000여 명의 방문객과 함께 화려한 개막을 알렸다.
이어 황옥선 무용수의 우리춤으로 시작된 한복패션쇼에는, 25명의 시니어 모델이 나와 속옷, 색동, 봄·여름·가을·겨울, 왕과 비를 차례대로 선보이며, 영암목재문화체험장 광장을 런웨이로 바꿨다.
한복패션쇼는 한복의 아름다운 자태와 전통의 깊이를 세련되게 풀어냈다는 평가를 받으며 방문객들의 많은 박수 갈채를 받았다.
'집은집: 달빛아래한옥' 의 주제 전시관에서는 숨·삶·쉼으로 이어지는 한옥의 여정을 보여주며 건축물을 넘어 사람과 자연이 함께 살아 숨 쉬는 집, 한옥을 재조명했다.
여기서 이이남 작가는 동양의 고전 회화를 소재로 한 병풍 형식의 미디어아트 ‘고전회화 해피니스’ 작품을 선보였더,
아울러 이혜숙 작가의 ‘달 뜨는 월출산’, 하지혜 작가의 ‘달빛 아래 집-둥지’ 등 총 27명 참여작가의 70여 점 작품들은 한옥을 주거공간에서 문화공간으로 확장했다.
주제전시관인 월출관에서는 주말마다 ‘고영 명장과 함께하는 다례 체험’과 ‘성향예술단의 25현 가야금 공연’이 열려 관광객들에게 영암의 맛과 음을 체험하게 만들었다.
비엔날레의 주요 프로그램인 ‘지역작가 아틀리에’는 한지공예의 김미희 작가, 민화이야기의 강정숙 작가, 한복입고 유유자적의 고영 작가 등 영암 군서면을 대표하는 예술가들이 참여해 지역 행사의 의미를 더했다.
이 밖에도 월출산도예공방의 정수미 작가, 마당에 놓인 달항아리 아라리요의 신병석조서연 작가, 손끝에서 피어나는 꽃 담소헌의 황인숙작가, 자연이 주는 선물 환희지 김경희 작가, 바람에 실린 영암이야기의 남은선 작가, 향기가 머무는 곳의 배유진 작가가 함께 했다.
작가들과 함께한 물레체험, 그립톡 꾸미기, 손수건 그리기, 브로치만들기, 자개 키링, 우드모빌 채색, 한복입기 등 체험은 860여 명의 방문객들에게 영암에서의 추억을 깊게 했다.
9일에는 전통혼례식에서는 영암읍의 김정희, 쩐티미린 부부가 결혼식을 올렸다.
15일에는 ‘담장너머: 한옥과 인문학의 만남’을 주제로 국제학술포럼이 열렸다.
동아시아의 전통주거와 주거문화를 발표한 4명의 특별초빙 교수는, 한국과 일본, 중국, 몽골의 전통가옥을 현대에 재해석한 사례를 제시했다.
이왕기, 안대환, 서정호 등 7명의 토론자들의 종합토론에서 한옥의 미래와 인문학적 감수성을 어떻게 연결할지 논의를 펼쳤다.
신환종 도시디자인과장은 “올해 비엔날레를 지역민의 협조로 무사히 마칠 수 있었고, 지역주민과 함께 성장하는 프로그램으로 이어나갈 계획이다. 내년에는 2027년 비엔날레 준비를 위해 공모전과 기본계획 수립 등을 착착 진행해 가겠다”고 말했다.
정평국 기자 a36316710@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