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등‧하굣길 안전 대책 부재… 지역 협력체계 강화 주문
학부모 참여 구조 개선·교육특구 실효성 확보 필요성 강조
김대일 도의원,도청신도시 학교 신설 지연, 학부모 참여 구조, 학생 등하굣길 안전 등 주요 교육 현안이 집중질의 .사진=경북도의회 제공
| 한스경제=손철규 기자 | 경상북도의회 교육위원회가 18일 실시한 안동·예천교육지원청 행정사무감사에서 도청신도시 학교 신설 지연, 학부모 참여 구조, 학생 등하굣길 안전 등 주요 교육 현안이 집중적으로 다뤄졌다.
김대일 도의원(안동·국민의힘)은 먼저 학교운영위원회 구성과 학부모 참여 문제를 언급하며 “운영위원 선출 과정조차 모르는 학부모가 적지 않다”며 “학부모회·녹색어머니회가 학교운영위원회에 자연스럽게 참여할 수 있는 제도적 통로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학생 안전 문제도 도마에 올랐다. 김 의원은 “학교 주변의 위험 요소가 여전히 해소되지 못하고 있다”며 “녹색어머니회, 자율방범대 등 지역 협력체계를 교육지원청이 직접 챙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도청신도시 2단계 개발지구 내 (가칭)도양초등학교 신설 지연 문제는 가장 굵직한 현안으로 다뤄졌다. 김 의원은 “학교 신설에 필요한 행정 절차는 모두 마쳤지만 공동주택 분양 지연으로 착공이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며 “경상북도·경북개발공사·안동시가 함께 개교 로드맵을 다시 작성해야 한다. 분양만 기다리는 수동 행정으로는 해결이 안 된다”고 비판했다.
안동·예천이 공동 추진 중인 교육발전특구에 대해서는 “지역사회와 연계된 교육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며 “아동친화도시 정책, 지역 문화 행사, 산업 기반과 연계한 실질적 운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김 의원은 “신도시 학교 신설, 학생 안전, 학부모 참여 모두 교육지원청이 주도적으로 챙겨야 할 핵심 현안”이라며 “지역 교육의 균형 발전을 위한 적극 대응”을 당부했다.
도청신도시의 성장 속도에 비해 교육 인프라 공급은 여전히 늦다. 공동주택 분양이라는 변수에 교육환경 개선이 좌우되는 구조는 지역 발전의 발목을 잡을 수밖에 없다. 교육지원청과 지자체가 보다 능동적으로 협력해 주민 체감형 개선책을 마련해야 할 시점이다.
손철규 기자 sonck55@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