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지방채 전액 상환 선언…“채무 제로 도시로 간다”
신상진 성남시장은 20일 제307회 성남시의회 정례회에서 2026년도 예산안 3조9408억 원을 제출하고 “절감으로 확보한 재정 여력을 시민 삶과 미래 산업에 재투자하겠다”며 강한 개혁 의지를 드러냈다./ 성남시 제공
신상진 성남시장은 20일 제307회 성남시의회 정례회에서 2026년도 예산안 3조9408억 원을 제출하고 “절감으로 확보한 재정 여력을 시민 삶과 미래 산업에 재투자하겠다”며 강한 개혁 의지를 드러냈다./ 성남시 제공

| 한스경제=김두일 기자 | 성남시가 내년 재정 기조를 ‘두터운 복지·과감한 산업·건전한 재정’으로 규정하며 미래 도시 경쟁력 강화에 박차를 가한다. 신상진 성남시장은 20일 제307회 성남시의회 정례회에서 2026년도 예산안 3조9408억 원을 제출하고 “절감으로 확보한 재정 여력을 시민 삶과 미래 산업에 재투자하겠다”며 강한 개혁 의지를 드러냈다. 내년 예산은 올해 대비 2.9% 증가한 규모다.

신 시장은 “성남시가 2년 연속 전국 기초지자체 재정자립도 1위를 기록한 것은 불필요한 지출을 과감히 줄인 결과”라며 “지방채 1120억 원 전액 상환을 통해 ‘채무 제로 도시’를 완성하겠다”고 밝혔다. 확보한 재정은 복지 확대와 산업 생태계 조성에 집중 투입된다.

올해 성과로는 ▲보훈명예수당 연령 제한 폐지·20만 원 인상 ▲대상포진·A형간염 등 예방접종 확대 ▲치매감별검사 본인부담 경감 ▲위례 포스코 글로벌센터 유치(향후 10년 경제효과 16조 원) ▲스페인 스마트시티엑스포 모빌리티 분야 한국 도시 최초 대상 수상 ▲오리역세권 제4테크노밸리 비전 선포 등을 제시하며 “성과는 시민의 신뢰가 만든 결과”라고 강조했다.

성남시는 복지 분야에 가장 많은 예산인 1조4246억 원을 배정했다. 아이 돌봄을 위해 초등학교 입학준비금 20만 원을 신설하고(12억6000만 원), 친환경 과일급식에 70억 원을 반영했다. 맞벌이 부모 호응이 큰 ‘해님달님놀이터’는 13개소를 추가 조성한다.

어르신 지원도 확대한다. 독감 등 예방접종 예산을 99억 원으로 늘리고, 100세 이상 장수축하금(50만 원)을 신설했다. 70세 이상 대중교통비 지원도 유지한다.

청년 자립을 위해 취업청년 전월세·이사비 지원 기간을 12개월로 확대하고(23억 원), ‘청년 취업 올패스’ 사업에 38억 원을 배정해 미취업 청년 역량 강화에 나선다.

신 시장은 “대장동 7천억 원대 범죄수익은 성남시민이 입은 피해이며 반드시 되찾겠다”며 “공공사업과 예산에 부패가 스며들 여지가 없도록 투명성을 원칙으로 시정을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성남시 제공
신 시장은 “대장동 7천억 원대 범죄수익은 성남시민이 입은 피해이며 반드시 되찾겠다”며 “공공사업과 예산에 부패가 스며들 여지가 없도록 투명성을 원칙으로 시정을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성남시 제공

성남시는 도시공간의 재편 작업에도 속도를 높인다. 분당에는 1기 신도시 최초로 재건축 지원센터를 설치해 주민 소통과 절차 지원을 강화한다. 물량 제한·이월 금지 등 분당에만 적용되는 규제 완화를 정부와 협의해 추진하며, 선도지구 특별정비구역 지정도 앞당긴다.

원도심에서는 생활권계획에 맞춘 재개발을 본격화한다. 수진2 등 5개 구역과 태평1 등 2개 구역의 재개발정비계획·정비구역 지정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별도의 재개발 지원센터도 설치해 주민 주도형 재개발을 뒷받침한다.

또한 재건축·재개발의 최대 걸림돌로 꼽히는 열원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규 열원 부지 확보와 개발제한구역 해제 등을 추진한다.

성남시는 전략산업 육성에 방점을 찍었다. ‘팹리스 첨단장비 공동이용’과 ‘시스템반도체 검증지원센터 구축’에 23억100만 원을 투입해 기업 지원 기반을 강화한다. 총 151억 원을 들여 중소·중견 제조기업의 디지털 혁신 허브인 ‘제조 AI 솔루션 개발지원센터’도 본격 구축한다.

신 시장은 “대장동 7천억 원대 범죄수익은 성남시민이 입은 피해이며 반드시 되찾겠다”며 “공공사업과 예산에 부패가 스며들 여지가 없도록 투명성을 원칙으로 시정을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신 시장은 이번 예산안을 “시민 체감형 복지 확대, 지역 균형 발전, 미래산업 기반 강화”라는 세 축으로 규정하며 “세 축을 균형 있게 실행해 성남의 도시경쟁력을 한 단계 끌어올리겠다”고 강조했다.

김두일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