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경제산업 3대 성장축 구축… 아태 AI센터 유치 박차
국립인구정책연구원 유치·APEC 인구정책 협력위원회 제안
| 한스경제=손철규 기자 | 경상북도는 19일 경북도청 다목적홀에서 ‘포스트 APEC 추진 전략 보고회’를 열고, 2025 APEC 정상회의 성공 개최의 성과를 지속 가능한 지역 성장동력으로 확장하기 위한 10대 핵심 사업의 세부 계획을 발표했다.
경북도는 APEC 준비 과정에서 경북연구원과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포스트 APEC 전략을 사전 기획해 왔으며, 문화관광·AI경제산업·평화번영 3대 분야로 나눠 경북 전역에 APEC의 유산을 확산하는 구조를 마련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APEC 이후 경주뿐 아니라 경북 전역에서 관광객 증가와 글로벌 호텔 체인의 투자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며 “포스트 APEC 사업을 본격 추진해 지속 가능한 경북의 성장 엔진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 문화관광 분야: 세계경주포럼·APEC 문화전당 등 글로벌 문화 허브 구축
경북도는 APEC 개최로 높아진 국제적 관심을 기반으로 K-컬처와 전통문화가 결합된 ‘글로벌 10대 문화관광거점’ 도약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세계경주포럼’을 글로벌 문화 다보스포럼으로 발전시키고, 경주에 ‘APEC 문화전당’을 조성해 회원국 간 문화 교류와 정책 협력의 장으로 활용한다.
또한 보문관광단지를 APEC 상징 조형물과 국가별 정원 조성 등으로 재정비하는 ‘보문단지 대리노베이션’을 추진해 대한민국 대표 관광지로 고도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APEC 개최 도시 간 교류를 위한 ‘APEC 연합도시 협의체’도 구성한다.
■ AI경제산업 분야: 아태 AI센터 유치·AI 미래공동체 실현
경북도는 AI를 기반으로 한 신성장 산업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AI경제산업 3대 성장축’을 발표했다. 포항·구미·안동‧예천 데이터센터를 AI 고속도로로 연결하고, 경산의 AI 인재양성을 더해 AI 미래공동체 비전을 구체화한다.
특히 경북은 ‘아시아태평양 AI센터’ 유치를 통해 APEC 회원국 간 AI 기술 격차 해소에 기여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또한 글로벌 기업·투자자들이 참여하는 ‘경주 CEO 서밋’과 경주타워에 AI 미디어아트를 적용한 ‘APEC 퓨처스퀘어’ 구축도 병행한다.
■ 평화·번영 분야: 인구정책 대응·통일 기반 조성
저출생과 인구구조 변화 대응을 위해 경북도는 ‘국립 인구정책연구원’ 경북 유치를 추진하고, APEC 차원의 ‘인구정책 협력위원회’ 설치를 제안했다.
또한 삼국통일의 역사성을 활용해 ‘신라통일평화정원’, ‘한반도 통일미래센터’ 등 평화·통일 기반 조성 사업도 추진한다.
이철우 도지사는 “포스트 APEC 사업을 경북 전역의 지속적인 성장모델로 발전시키겠다”며 “후손에게 대한민국의 새로운 미래 유산을 남길 수 있도록 추가 사업 발굴에도 힘쓰겠다”고 밝혔다.
경북도의 포스트 APEC 계획은 국제행사 개최 효과를 장기 성장동력으로 연결하려는 전략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다만 10대 사업 대부분이 대규모 예산 투입과 장기 추진이 필요한 만큼, 실현 가능성과 우선순위 설정이 핵심이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문화·AI·인구정책 등 다양한 분야가 포함된 만큼, 부처 협력과 재원 확보 전략이 뒤따르지 않는다면 계획이 선언적 수준에 머무를 우려도 있다. 경북이 'APEC 이후'의 모멘텀을 실질적 성과로 전환하려면, 무엇보다도 단계별 추진 로드맵과 성과 관리 체계가 명확히 마련될 필요가 있다.
손철규 기자 sonck55@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