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소형 PE시스템·저상화 섀시 등 핵심 기술 공개
경기도 의왕 현대모비스 기술연구소에서 진행된  ‘Tech Bridge 2025’에서 50개 전동화·모듈 신기술 전시 현장과 첨단 기술을 체험하는 관람객들의 모습./현대모비스
경기도 의왕 현대모비스 기술연구소에서 진행된 ‘Tech Bridge 2025’에서 50개 전동화·모듈 신기술 전시 현장과 첨단 기술을 체험하는 관람객들의 모습./현대모비스

| 한스경제=곽호준 기자 | 현대모비스가 전동화·모듈 분야에서 개발한 모빌리티 혁신 기술 50종을 공개하며 기술 경쟁력 강화에 나섰다고 19일 밝혔다.

지난 18일부터 이틀간 경기도 의왕시 전동화연구소에서 열린 ‘테크 브릿지 2025’는 기존 부문별 전시회를 통합한 첫 행사다. 완성차 고객사와 협력사에 연구개발 성과를 공유하며 현대모비스의 기술로 연결한다는 취지로 마련됐다.

이번 행사에서 현대모비스는 전동화 기술 28개, 모듈 기술 22개를 선보였다. 전동화 분야에서는 도심형 소형 전기차용 120kW급 PE시스템이 주목받았다. 모터·인버터·감속기를 통합한 구동 시스템으로 중대형에 이어 소형 전기차까지 라인업을 확장했다. 부피를 줄이고 적재 공간을 확보하는 저상형 구조도 특징이다.

22kW급 차세대 ICCU(통합충전 제어장치)도 공개됐다. 배터리 전압과 온도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충전 속도를 능동 제어해 기존 대비 두 배 수준의 빠른 충전 성능을 구현했다. 모듈 분야에서는 저상화 섀시 모듈이 눈길을 끌었다. 복합재 판스프링과 전동 로터리형 댐퍼를 적용해 경량화와 승차감 향상을 동시에 구현했으며 개발 과정에서 5건의 특허도 출원했다.

한편 현대모비스는 전동화와 모듈 기술의 융합을 통해 수주 경쟁력을 높일 계획이다. 고객사와 협력사가 모두 활용할 수 있는 통합 설계 기술을 지속 확대한다는 구상이다.

곽호준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