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철강 산업 침체에 따른 고용 불안 해소 위한 6개월간 특별 지원 가동
포항시청 전경. 사진=포항시
포항시청 전경. 사진=포항시

| 한스경제=이상은 기자 | 포항시가 고용노동부로부터 ‘고용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공식 지정됨에 따라, 향후 6개월간 지역 근로자와 기업을 대상으로 한 고용 안정 지원이 확대된다. 이번 지정은 최근 철강 산업의 침체로 인한 고용 불안 심화를 사전에 차단하고, 관련 산업 생태계 전반의 안정화를 도모하기 위한 조치다.

‘고용위기 선제대응지역’ 제도는 고용 상황이 급격히 악화될 우려가 있는 지역을 미리 지정하여 선제적으로 고용 안정 대책을 지원하는 제도다. 포항시는 철강 산업 불황으로 인한 공장 가동 축소 및 인력 감축이 협력업체와 지역 중소기업으로 확산되며 고용 불안이 가중될 가능성을 인지하고,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책 마련을 위해 이번 지정을 추진했다. 이 과정에서 포항시의회, 지역 국회의원, 경상북도의 긴밀한 협력이 지정 추진에 힘을 보탰다.

이번 지정으로 포항시 근로자와 기업은 각종 지원 사업의 규모 확대와 자격 요건 완화라는 실질적인 혜택을 받게 된다. 근로자에게는 직업훈련비 지원이 확대되어 내일배움카드 지원금이 기존 300만 원에서 500만 원으로 상향된다. 또한, 생활 안정 자금 융자 한도가 2,000만 원에서 2,500만 원으로, 임금 체불 근로자를 위한 생계비 융자 한도는 1,000만 원에서 1,500만 원으로 각각 증액된다. 직업훈련 생계비 대부 역시 1,000만 원에서 2,000만 원으로 확대되며, 국민취업지원제도 II유형의 경우 중위소득 100%에서 지정일 이전 3개월부터 퇴사자는 소득 요건이 면제된다.

기업 부문에서는 고용유지지원금의 휴업수당 지급 비율이 기존 66.6%에서 80%로 상향 조정된다. 또한, 사업주 직업훈련 지원 시 훈련비 단가의 100%를 지원하던 것에서 130%로 확대 지원한다. 이러한 지원 혜택은 지정 기간 내에 신청한 경우에만 적용된다. 포항시는 관련 내용을 적극적으로 알리기 위해 안내 책자 제작·배포, 설명회 개최, 온라인 홍보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포항시는 지난 8월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에 이어 이번 ‘고용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으로 산업과 고용을 아우르는 이중 안전망을 구축하게 되었다. 시는 이번 지정을 국비 및 도비 예산 추가 확보의 발판으로 삼아, 고용 유지, 전직 지원, 직업 훈련, 생계 안정 등 관련 사업을 중점적으로 발굴하고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이를 위해 고용노동부, 중앙부처 및 경상북도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지역 맞춤형 고용 안정 정책을 더욱 촘촘하게 마련할 예정이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이번 지정은 포항의 산업과 일자리 안전망을 한층 강화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고용 불안에 직면한 근로자와 기업이 실질적인 혜택을 체감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고, 국·도비 확보를 통해 지역 고용 안정을 위한 재원을 최대한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포항시는 이번 지정을 바탕으로 경기 둔화 속에서도 고용 충격을 최소화하고, 지역 경제 회복과 지속 가능한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은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