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경산 야생멧돼지 포획트랩 설치 현장 직접 확인… 대응체계 전면 점검
경기·강원 지역 ASF 확산에 대응해 중앙·지방 합동 방역 강화
농장 소독·울타리·기피제 등 양돈농가 방역실태도 집중 점검
경상북도,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차단을 위한 합동 현장 점검을 실시 .사진=경북도 제공
경상북도,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차단을 위한 합동 현장 점검을 실시 .사진=경북도 제공

| 한스경제=손철규 기자 |  경상북도는 18일 농림축산식품부 이동식 방역정책국장과 함께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차단을 위한 합동 현장 점검을 실시하고, 경산시 야생멧돼지 포획트랩 설치 현장을 방문해 방역 실태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번 점검은 2025년 경기지역 양돈농가 5호에서 ASF가 발생하고 최근 강원 지역 야생멧돼지에서도 지속적으로 바이러스가 검출되는 등 전국적 확산 위험이 커짐에 따라 추진됐다. 경북도는 중앙정부와 협력해 도내 유입 방지를 위한 대응체계 강화를 목표로 현장 중심 점검을 강화하고 있다.

18일 점검단은 경산시 포획트랩 설치 현장을 직접 방문해 포획장비 설치 상태, 유지관리, 주변 환경 등을 세밀하게 살폈다. 더불어 멧돼지 포획 방식, 폐사체 수거 체계, 현장 대응 프로토콜의 적정성도 함께 점검했다.

경북도는 이번 사례 외에도 도내 양돈농가를 대상으로 농장·출입 차량 소독, 내·외부 울타리 설치 여부, 야생멧돼지 기피제 비치 등 방역조치 준수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하며 추가 확산 예방에 주력하고 있다.

김주령 경북도 농축산유통국장은 “ASF는 발생 초기 차단이 피해 규모를 결정짓는 만큼 사전 예방이 최우선”이라며 “도내 양돈업을 지키기 위해 농림축산식품부와 긴밀히 협력해 확산 위험을 최소화하겠다”고 말했다.

ASF는 일단 발생하면 살처분·이동제한 등 경제적 피해가 막대한 만큼, 경북도의 이번 합동점검은 신속·선제대응 측면에서 적절한 조치로 평가된다. 그러나 야생멧돼지 확산이 주요 원인인 만큼 포획 확대와 폐사체 탐지 강화 등 현장 중심의 실효적 대응이 지속돼야 한다. 특히 양돈농가의 방역수칙 준수는 가장 취약한 고리이자 동시에 가장 중요한 방어선인 만큼, 농가 교육·점검 강화가 향후 핵심 과제다.

손철규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