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민 10% 시대…교육·정착 지원 등 다양한 의견 제시
모둠별 논의 통해 현장 요구 공유하고 향후 정책 반영 예정
김보라 시장 “이주민도 안성 시민…대화와 이해가 변화의 출발점”
| 한스경제=김두일 기자 | 안성시(시장 김보라)는 안성시시민활동통합지원단 공익활동지원센터와 안성이주민인권모임이 공동 주최한 지역 공론장 ‘다문화 안성in’을 15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공론장에는 이주민 30여 명을 포함한 60여 명이 참석해 안성의 다문화 현실을 논의하고, 함께 살아가는 방법을 모색했다.
안성은 전체 인구 20만 명 가운데 약 10%가 이주민으로 구성된 지역으로, 이날 행사에는 20년 이상 거주한 이주민부터 중도입국 고려인 학생, 결혼이민자 등 다양한 배경의 주민들이 참여했다. 참석자들은 모둠별로 나뉘어 언어 장벽, 교육 문제, 지역사회 정착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 등을 자유롭게 이야기했다.
러시아 출신 고려인 최예브기니 씨는 “고려인들이 안성에 뿌리내리기 위해 지역의 따뜻한 도움이 필요하다”며 공동체적 포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중도입국 학생 대표는 “언어 수준 차이가 진학에 어려움으로 이어진다”며 맞춤형 한국어 교육과 원어민 교사 확충을 제안했다.
공론장에서는 나라별·연령별 특성을 고려해 모둠을 구성하고 퍼실리테이터가 한 명 한 명의 의견을 경청했다. 도출된 의견은 전체 발표로 공유됐으며, 향후 정책 반영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안성이주민인권모임 정인교 대표는 “이주민도 세금을 내고 선거권을 가진 시민임에도 지원 예산은 3%에 불과하다”며 정책 확대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보라 안성시장은 “이주민을 안성 시민으로 함께 받아들이고 이해하려는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오늘의 논의를 출발점으로 더 많은 자리에서 대화를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공론장은 시민단체, 행정, 안성가족센터, 이주민지원센터, 교육청과 학교 등이 함께 참여해 지속 가능한 논의 구조를 만들었으며, 공론장에서 나온 의견은 2026년 안성시 정책 반영을 위한 후속 논의로 이어질 예정이다.
김두일 기자 tuilkim@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