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소득·기본돌봄·기본의료 등 11개 분야 전문가 30명 참여
시민 70여 명으로 구성된 시민추진단도 발족해 정책 제안·현장 의견 수렴
정명근 시장 “106만 시민을 위한 새로운 사회적 약속…기본을 지키는 도시 구현”
| 한스경제=김두일 기자 | 화성특례시(시장 정명근)는 전문가와 시민이 함께 참여하는 ‘화성형 기본사회추진단’을 18일 공식 출범하며 생활 기반 정책을 시민과 함께 설계하는 새로운 모델을 가동했다고 밝혔다.
시는 이날 푸르미르호텔 사파이어홀에서 출범식을 열고 민관 공동 자문기구인 ‘화성형 기본사회 추진단’과 ‘화성형 기본사회 시민추진단’을 동시에 출범했다.
화성형 기본사회 추진단은 2026년 설치 예정인 ‘화성형 기본사회위원회’의 전 단계 조직으로, 지방정부 최초로 민관이 함께 참여해 기본사회 정책을 발굴·점검·자문하는 한시적 정책 촉진 기구다. 추진단에는 기본소득, 기본돌봄, 기본의료, 기본주거 등 11개 분야에서 활동하는 전문가 30명이 참여하며 실국소장과 제2부시장 등 당연직 8명, 학계·의료·복지·금융 등 외부 전문가 22명으로 구성된다.
추진단과 함께 시민 70여 명으로 구성된 ‘화성형 기본사회 시민추진단’도 발족했다. 시민추진단은 생활 속 문제 발굴, 정책 사각지대 해소, 민관 협력 촉진, 정책 공감대 확산을 담당하며 시민이 직접 정책을 제안하고 시가 이를 실현하는 참여형 기본사회 구조를 구현한다.
출범식은 위촉장 수여, 기조강연, 정책개발 연구용역 중간보고, 전문가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됐다. 양성일 전 보건복지부 차관은 ‘기본사회의 가치와 필요성’을 주제로 강연하며 “기본은 복지의 마지막이 아니라 시작”이라는 관점을 제시했다. 권오균 화성시연구원 연구위원은 중간보고를 통해 소득·돌봄·주거·교통 등 전 영역을 포괄하는 기본사회 체계를 발표했다.
이어 진행된 시민추진단 워크숍에서는 기본사회 소개, 정책 설명, 우선순위 선정, 의견 공유 등이 이루어졌으며, 시민들은 일상에서 겪는 문제와 정책 사각지대를 직접 제시하며 정책 설계 과정에 참여했다.
화성특례시는 시민 의견을 향후 기본사회 정책 및 연구용역에 반영하고,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생활 기반 정책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정명근 화성특례시장은 “오늘 출범식은 106만 시민 모두를 위한 새로운 사회적 약속의 시작”이라며 “소득·돌봄·주거·교통·의료·교육 등 시민의 기본을 지켜주는 도시, 누구도 뒤처지지 않는 도시를 향해 화성특례시가 가장 먼저 나아가겠다”고 강조했다.
김두일 기자 tuilkim@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