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평택항, 온실가스 감축·탈탄소화 목표… 2050년까지 Net-Zero 실현
경기평택항만공사(사장 직무대행 김금규)가 11월 18일 서울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에서 평택항과 유럽 최대 자동차 항만인 안트워프·브뤼헤항(Port of Antwerp-Bruges) 간의 녹색해운항로(Green Shipping Corridor, GSC) 공동 구축을 위한 의향서(LOI)를 체결했다./ 경기평택항만공사 제공
경기평택항만공사(사장 직무대행 김금규)가 11월 18일 서울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에서 평택항과 유럽 최대 자동차 항만인 안트워프·브뤼헤항(Port of Antwerp-Bruges) 간의 녹색해운항로(Green Shipping Corridor, GSC) 공동 구축을 위한 의향서(LOI)를 체결했다./ 경기평택항만공사 제공

| 한스경제=김두일 기자 | 경기평택항만공사(사장 직무대행 김금규)가 11월 18일 서울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에서 평택항과 유럽 최대 자동차 항만인 안트워프·브뤼헤항(Port of Antwerp-Bruges) 간의 녹색해운항로(Green Shipping Corridor, GSC) 공동 구축을 위한 의향서(LOI)를 체결했다. 이 협약은 국제해사기구(IMO)의 2050년 온실가스 배출 제로(Net-Zero) 목표에 부응하는 글로벌 해운 산업의 탈탄소화 및 친환경 해운 항로 구축을 위한 중요한 첫걸음으로 평가된다.

의향서에 포함된 주요 내용은 ▲친환경 연료의 개발 및 도입 가속화 ▲대체 연료 사용과 벙커링 협력 ▲자동차 물류 및 공급망의 탈탄소화 ▲녹색해운항로(GSC) 워킹 그룹 구성 등이다. 양항은 협력을 통해 효율적인 녹색해운항로 구축 로드맵을 공동 개발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김금규 경기평택항만공사 사장 직무대행은 "항만은 더 이상 단순한 무역의 관문이 아니다. 미래 지속 가능성을 위해서는 친환경, 탈탄소 항만으로의 전환이 필수적"이라며, "안트워프·브뤼헤항이 이미 선제적으로 친환경 항만 조성을 위한 투자를 해왔듯, 평택항도 이들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체계적인 탈탄소 항만을 조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경기평택항만공사 제공
김금규 경기평택항만공사 사장 직무대행은 "항만은 더 이상 단순한 무역의 관문이 아니다. 미래 지속 가능성을 위해서는 친환경, 탈탄소 항만으로의 전환이 필수적"이라며, "안트워프·브뤼헤항이 이미 선제적으로 친환경 항만 조성을 위한 투자를 해왔듯, 평택항도 이들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체계적인 탈탄소 항만을 조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경기평택항만공사 제공

김금규 경기평택항만공사 사장 직무대행은 "항만은 더 이상 단순한 무역의 관문이 아니다. 미래 지속 가능성을 위해서는 친환경, 탈탄소 항만으로의 전환이 필수적"이라며, "안트워프·브뤼헤항이 이미 선제적으로 친환경 항만 조성을 위한 투자를 해왔듯, 평택항도 이들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체계적인 탈탄소 항만을 조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정부와 산업계, 시민사회의 많은 관심과 지원을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평택항은 연간 약 160만 대의 수출입 자동차를 처리하는 대한민국 최대 자동차 항만이며, 안트워프·브뤼헤항은 2024년 기준 322만 대의 자동차를 처리하는 유럽 최대 자동차 항만이다. 이번 협정은 두 항만이 글로벌 자동차 물류의 탈탄소화와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는 중요한 전환점을 의미한다.

또한, 경기평택항만공사는 이미 11월 11일, 현대자동차그룹, 기아차, 현대글로비스, 평택시, 평택지방해양수산청 등과 함께 평택항 탄소중립 그린 수소 항만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바 있다. 이 협약을 통해 평택항은 탈탄소 항만으로의 전환을 선도하며, 세계적인 친환경 항만으로 자리매김할 계획이다.

김두일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