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해양·영상 기능군 중심 추가 이전기관 검토
| 한스경제=이승렬 기자 | 부산시가 수도권 공공기관 2차 이전에 대비해 유치 전략과 대응 방안을 정교화하는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부산시는 18일 오전 시청 26층 회의실에서 성희엽 미래혁신부시장 주재로 ‘공공기관 이전추진단 전담 조직(TF)’ 관계부서 합동 회의를 열고 수도권 공공기관 2차 이전에 대한 시의 대응 전략을 논의한다. 이번 회의는 정부의 국가균형성장 추진전략 발표 이후 부산시 차원의 유치 전략을 사전에 정교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시는 이날 회의에서 1차 이전 기능군인 금융, 해양, 영화·영상 분야를 중심으로 2차 이전 유치 대상 기관을 검토하고, 부산의 미래 성장 분야와 산업 경쟁력을 반영해 추가 발굴해야 할 기관에 대해서도 논의할 계획이다. 관계부서는 TF 회의 준비 과정에서 중앙부처와 이전 대상기관을 직접 방문해 동향을 파악하는 등 실질적 전략 마련을 위한 현장 확인도 병행했다.
부산연구원이 진행 중인 ‘공공기관 2차 이전 대상 기관 유치 필요성 및 파급효과 분석’ 연구의 진행 상황도 회의에서 공유된다. 시는 2차 이전 논의가 본격화함에 따라 유치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확보 차원에서 해당 연구용역을 이달 초 의뢰했다.
시는 2023년부터 미래혁신부시장을 단장으로 하는 이전추진단 전담 조직을 구성해 공공기관 이전에 대응해 왔다. 공공기관이전팀, 금융기관이전팀, 해양수산부이전지원팀 등 분야별 전담 조직을 통해 유치 필요성을 정부와 관계기관에 설명하고 관련 동향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있다. 지난 10월에는 실무협의체 회의를 통해 유치 전략과 기관 우선순위도 검토한 바 있다.
성희엽 미래혁신부시장은 “공공기관 2차 이전은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정부의 핵심 전략”이라며 “해양수산부 이전에 이어 2차 이전도 차질 없이 대응해 부산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승렬 기자 ottnews@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