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7교 운영 학교, 맞춤형 복지 지원으로 학교생활 적응 도움
사업 운영·복지 환경·인적·물적 자원 등 모든 영역에서 긍정 평가
| 한스경제=손철규 기자 | 경북교육청은 지난 9월과 10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운영 학교 117교의 학생과 학부모, 교원 등 총 2,37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만족도 조사에서 전체 평균 96.8점을 기록하며 역대 최고치를 달성했다고 17일 밝혔다.
■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으로 공공성 강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은 교육 기회에서 소외되기 쉬운 취약계층 학생에게 맞춤형 복지 지원을 제공해 교육의 형평성과 공공성을 실현하는 국가 정책 사업이다. 경북교육청은 2006년 4개 지역 37개 기관으로 사업을 시작했으며, 현재는 117개 학교와 11개 교육지원청 등 총 128개 기관에서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 교육복지사 중심, 학생 맞춤형 지원과 지역사회 연계 강화
교육복지사는 학생 개별 문제를 넘어 학생 삶 전체를 지원하며, 위기학생 조기 발굴과 학교 중심 지역 기반 복지 안전망 구축에 힘쓰고 있다. 또한 교직원 간 협력 문화 확산을 통해 학교 문화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정책의 지속 가능성도 확보하고 있다.
이번 만족도 조사 결과는 2024년(96.2점)보다 상승한 수치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이 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과 심리·정서·경제적 지원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음을 보여준다.
■ 주체별·영역별 만족도 모두 높아
조사 결과, 학생 95.3점, 학부모 96.2점, 교원 98.9점으로 모든 참여자가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영역별로는 사업 운영(96.8점), 복지 환경(96.4점), 인적·물적 자원(94.5점) 순으로 긍정적 평가를 받았다. 특히 교육복지실과 교육복지사의 역할이 큰 호응을 얻었으며, 교우 관계 향상, 교사와의 관계 개선, 학생 맞춤형 지원 등에서도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임종식 교육감은 “이번 만족도 조사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이 학교 현장에서 실질적인 긍정 효과를 내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앞으로도 모든 학생이 차별 없이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보편적 교육복지 실현과 맞춤형 지원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경북교육청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높은 만족도는 단순한 행정 평가를 넘어, 현장에서 학생·학부모·교원 모두가 체감하는 실질적 효과를 보여준다. 특히 교육복지사와 교육복지실의 중심적 역할이 사업의 성공을 견인한 것으로, 향후 보편적·맞춤형 교육복지 확대에도 긍정적 모델로 자리잡을 전망이다.
손철규 기자 sonck55@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