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스경제=김두일 기자 | 경기도교육청이 추진 중인 학교 신설 방식의 ‘턴키(설계·시공 일괄)’ 전환 정책을 놓고 지역 건설 생태계 위축 우려가 제기됐다. 경기도의회 교육행정위원회 김회철 의원(더불어민주당·화성6)은 14일 열린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에서 “정책 변화에는 반드시 보완책이 필요하다”며 턴키 방식 도입에 따른 지역 중소건설사 배제 가능성을 강하게 지적했다.
김회철 의원은 “정책은 늘 새로운 방식의 장점만 강조하고 기존 방식의 단점을 부각하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절대선은 없다”며 “턴키공사 도입 시 대형 건설사 중심 구조가 고착화되면 지역 중소건설사의 참여 기회가 크게 줄고, 결국 지역 산업 생태계까지 흔들릴 수 있다”고 비판했다.
특히 화성 동탄 지역에서 4개 학교를 묶어 추진 중인 첫 턴키 사례를 언급하며, “지역적 특성·근접성 등 조건이 충족될 때 가능한 방식이지 모든 학교건설에 일률적으로 적용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기존 방식의 장점은 살리고 단점은 보완하는, 균형 잡힌 접근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김 의원은 “처음 시행하는 정책일수록 더 철저한 검증이 필요하다”며 “대형사 쏠림, 지역 공사 생태계 붕괴 같은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교육청이 충분한 사전 보완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거듭 당부했다.
그는 끝으로 “학교 신설은 지역 미래와 직결된 핵심 사안”이라며 “정책 변화가 현장에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교육청이 책임 있게 준비해달라”고 촉구했다.
김두일 기자 tuilkim@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