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스경제=김두일 기자 | 경기도의회 교육행정위원회 이애형 위원장(국민의힘, 수원10)은 14일 열린 경기도교육청 행정국·운영지원과·안전교육관 대상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에서 “학교 유휴공간은 단순히 비어 있는 공간이 아니다”라며 교육청의 명확한 가이드라인 부재를 강하게 지적했다.
이 위원장은 지난 9월 시행된 「경기도교육청 학교 유휴공간 활용 촉진 조례」를 언급하며 “유휴공간의 정의가 불명확해 일선 학교 현장에서 혼란이 반복되고 있다”며 “정규 교육활동에 사용되지 않거나 장기적으로 활용 계획이 없는 시설이 무엇인지 교육청 차원의 기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유휴공간 정책이 학교 개방 정책과 직결된다는 점을 짚으며 “학교 공간을 어떻게 열고, 어떤 시설을 지역사회와 공유할 것인지에 대한 기본 방향부터 정립돼야 한다”며 “유휴공간 활용 기본계획을 서둘러 마련하고, 안전관리 체계도 함께 정비하라”고 주문했다.
이 위원장은 지자체와의 협력 필요성도 거듭 강조했다. “수원시는 이미 학교 유휴교실을 활용해 청소년·학부모가 함께 이용하는 교육·문화 복합공간을 운영하고 있다”며 “도내 31개 시·군이 추진 중인 다양한 유휴공간 활용 사업을 교육청이 면밀히 검토해 접목한다면 정책 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학교 유휴공간 활용은 단순한 공간 재배치가 아니라, 학교와 지역이 함께 살아나는 통합 정책”이라며 “교육공동체가 안전하게 머물고 지역사회가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지속가능한 학교공간 모델을 만드는 데 교육청 행정국이 선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두일 기자 tuilkim@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