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스경제=정평국 기자 | 전남지역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이 15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선 가운데 전남도가 동계작물 재배 시 화학비료 사용 금지 등 인증 취소를 막기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섰다.
도는 지난 11일 전남도농업기술원에서 도·시군 친환경농업 담당 공무원 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친환경농산물 인증대책 회의'를 열고 인증 실적 점검과 인증 취소 방지 방안을 논의했다고 15일 밝혔다.
도에 따르면 올해 10월 말 기준 전남지역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은 3만5328㏊로 지난해 말(3만4294㏊)보다 1034㏊ 늘었다. 인증면적이 증가한 것은 2009년 이후 15년 만이다. 이는 친환경농업직불금 단가 인상, 친환경 벼 공공비축미 전량 매입, 쌀 생산조정제 추진, 친환경 벼 신규 재배 확대 등이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이날 회의에서는 고령화에 따른 농촌 인력 부족과 이상기후 등으로 인증이 취소되는 사례가 증가하는 점을 고려해 대응 방안도 심도 있게 논의됐다. 논두렁 제초제 살포, 동계작물 재배지 화학비료 사용, 병해충 방제 시 합성농약 사용이 주요 취소 사유로 지적된 가운데 도는 농가 대상 의무교육 강화, 방제업체 안전성 교육, 공동방제 사전 신고제, 드론 방제 교육 등으로 인증취소 면적이 줄고 있다고 설명했다.
도는 올해 '논두렁 조성 효율화 지원사업'을 시범 추진하고, 유기농 벼 재배지에 동계작물 재배 시 화학비료 살포를 막기 위해 자운영·헤어리베치 등 두과 녹비작물 공급 확대에도 나서고 있다. 친환경 벼 인증농가의 타인 임대 금지, 공시된 유기질비료 및 유기농업자재 사용 준수 등을 적극 당부하고 있다.
생산 단계에서도 친환경 육묘상자 처리제 사용, 부적합 농자재 사용 금지, 출하 전 잔류농약 검사 의무화, 영농시기별 인증 기준 안내 문자 발송 등 안전성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김영석 친환경농업과장은 "단계별 인증 취소 방지대책을 차질 없이 추진해 친환경농업 단지화·집적화, 인증 품목 다양화에 힘쓰겠다"며 "소비자가 신뢰할 수 있는 건강한 농산물 생산을 위해 안전관리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정평국 기자 a36316710@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