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2026년도 화성특례시 본예산이 전년 대비 7% 증가한 3조7,523억 원 규모로 제시됨
민생 안정·미래 성장·균형 발전을 세 축으로 재정 방향을 확정함
지역화폐·AI산업·트램 등 주요 투자 사업을 중심으로 예산이 배분됨
정명근 시장 “민생과 미래 성장을 함께 추진해 도시 발전을 이루겠다는 의지 반영”

| 한스경제=김두일 기자 | 화성특례시(시장 정명근)가 12일 제246회 시의회 정례회에서 2026년도 본예산안과 내년도 시정 운영 청사진을 공식 발표했다. 시는 내년 본예산을 총 3조7,523억 원으로 편성해 올해보다 2,496억 원 늘린 확장재정 기조를 유지했다. 민생 안정, 미래성장, 균형발전이라는 세 축에 재원을 집중해 실질적 변화를 만들겠다는 전략이다.

내년부터 본격 가동되는 4개 구청 체제는 이러한 정책의 기반이 된다. 시는 ‘함께 여는 새로운 화성’을 슬로건으로 내걸고 시민 삶을 강화하는 민생 정책, 미래산업 경쟁력 확보, 도시 곳곳의 균형 있는 인프라 확충이라는 세 방향을 제시했다.

가장 먼저, 민생 분야에는 1,700억 원이 투입된다. 전국 최대 규모로 꼽히는 1조 원 지역화폐 발행을 유지하며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을 지원한다. 또한 통합돌봄 확대, 화성형 기본사회 구축 등 생활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행정 강화가 포함됐다.

미래성장 분야에서는 정부의 ‘AI 3대 강국 도약’ 기조에 발맞춰 AI 기반 첨단산업 육성에 집중한다. 총 83개 사업에 1,235억 원이 배정되며, 지속 가능한 성장 동력을 구축하기 위한 산업 생태계 확장이 핵심 목표다.

균형 발전 또한 예산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4개 일반구 중심의 ‘30분 행정 생활권’을 구축하기 위해 3,970억 원이 투입된다. 트램 건설, 신안산선 향남 연장, 여울공원 전시온실 건립, 황금해안길 조성 등 교통과 문화 인프라 사업이 대거 포함돼 지역 간 격차 해소 효과가 기대된다.

정명근 화성특례시장은 “민생 안정이 오늘을 지킨다면 성장 투자는 내일을 여는 힘”이라며 내년 구청 체제 출범과 미래 대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시의회와 시민의 협력이 ‘함께 여는 새로운 화성’의 도약을 가능하게 한다”고 덧붙였다.

김두일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