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주담대 전월 대비 2.1조원 증가...증가폭은 감소
한 시중은행의 대출 창구 전경. / 연합뉴스
한 시중은행의 대출 창구 전경. / 연합뉴스

| 한스경제=이나라 기자 | 10월 금융시장에서 가계대출이 9월보다 3.5조원 증가했다. 전세자금 수요 둔화 속에서도 신용대출이 증가로 돌아섰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한국은행이 13일 발표한 '10월 금융동향'에 따르면, 10월 은행 가계대출은 9월에 비해 3조5000억원이 늘어난 1173조7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주택담보대출은 전세자금 수요 감소와 7~8월 주택거래 둔화 영향으로 증가폭이 2조5000억원에서 2조1000억원으로 줄었다.

반면 기타대출은 지난달 5000억원 감소에서 1조4000억원 증가로 돌아섰다. 국내외 주식투자 확대, 10·15 대책 발표 전 주택거래 선수요, 추석 연휴 기간 자금수요 등이 신용대출 중심의 증가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기업대출도 9월 5조3000억원에서 10월 5조9000억원으로 증가폭이 커졌다. 

중소기업대출은 4조원에서 5조7000억원으로 늘었다. 부가가치세 납부가 겹치며 은행권 대출영업과 실 수요가 맞물린 결과로 풀이된다. 다만 대기업 대출은 운전자금 수요 둔화와 대체조달 활용으로 2000억원이 늘어나는 데 그쳤다. 

회사채는 9월 1조8000억원 순발행에서 10월 7000억원 순발행으로 규모가 줄었으며 CP·단기사채는 월말 상환분 재발행으로 -1조5000억원에서 7000억원으로 전환됐다.

한편 금융당국이 공개한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달 4조8000억원 늘었다. 증가 폭은 전월(+1조1천억원)의 4배 이상 늘었다. 

10월 은행 수신은 수시입출식예금을 중심으로 큰 폭(+35.5조원 → -39.3조원) 감소했다. 분기말 재무비율 관리를 위해 일시 예치되었던 법인자금 유출, 부가가치세 납부 등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정기예금(-0.4조원 → +13.6조원)은 가계자금이 일부 유출되었으나, 일부 은행의 규제비율 관리를 위한 예금 유치, 지자체 재정자금 일시 예치 등으로 상당폭 증가 전환됐다. 

반면 자산운용사 수신은 -4조2000억원에서 +50조6000억원으로 크게 늘었다. MMF는 -28조원에서 +16조2000억원으로 유입 전환됐으며 분기말 유출된 법인자금 재유입과 국고 여유자금 유입이 증가했다. 

주식형펀드는 10조9000억원에서 22조원으로 유입 규모가 확대됐으며 기타펀드와 채권형펀드도 증가 흐름을 이어갔다.

이나라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