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스경제=김두일 기자 | 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 심홍순 부위원장(국민의힘, 대화동·일산3동·주엽1·2동)이 드론산업 지원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기업당 500만 원 지원 한도로는 성장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렵다”며 지원체계 전면 재검토를 촉구했다.
심홍순 의원은 13일 열린 경기테크노파크 행정사무감사에서 “드론산업은 기술개발과 장비·인증 등 초기 투자비용이 높아 소규모 지원금으로는 실질적 성과를 내기 어렵다”며, “현재 기업당 최대 500만 원 한도의 지원은 현장 체감과 괴리가 크다”고 지적했다.
그는 “2024년도 사업 만족도 조사에서도 ‘지원규모의 적정성’과 ‘생산·운영비 절감 효과’ 항목의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며 “이는 기업들이 지원금의 실질적 도움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다는 방증”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심 의원은 “지원기업 수를 늘리기보다 성장 가능성이 높은 유망 기업에 집중 투자하는 것이 한정된 도비를 효율적으로 집행하는 길”이라며 “지원 단가를 높이더라도 성과 중심의 ‘선택과 집중’ 지원체계로 전환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심 부위원장은 끝으로 “드론산업은 미래 성장산업의 핵심이자 지역 기술경쟁력의 바로미터”라며 “기업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이고 지속가능한 지원정책으로 산업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두일 기자 tuilkim@naver.com
김두일 기자
tuilkim@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