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스경제=이나라 기자 | 기준금리 인하 기조에도 카드사 대출금리는 좀처럼 낮아지지 않고 있다. 시장금리 하락에도 카드론과 현금서비스 금리가 고금리권을 유지하면서, 여전 업권의 자금조달 구조와 리스크 관리 부담이 금리 조정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14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올해 9월 기준 국내 8개 전업 카드사(삼성·신한·KB국민·현대·하나·우리·롯데·BC카드)의 카드론 평균금리는 14.25%로 집계됐다. 비씨카드는 16.1%로 가장 높았고 현대카드는 13.48%로 가장 낮았다. 롯데·우리·하나카드도 모두 14%대에 형성됐다. 현금서비스 금리는 평균 18%대, 리볼빙 금리도 17%대를 나타냈다.
기준금리가 낮아졌음에도 카드사 대출 금리는 지난해와 비교해 큰 변화가 없다. 이는 내부적으로는 연체율 상승과 맞물려 있다는 분석이다. 카드사는 은행처럼 예금성 수신이 불가능해 여전채를 통해 자금을 조달한다. 이에 따라 회사채 금리가 안정세를 보이고 있음에도, 연체율이 높아진 상황에서는 가산금리를 내리기 어렵다는 게 업계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올해 들어 카드론 연체율은 완만한 상승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민국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국내 카드 대출 및 연체 현황'에 따르면, 카드 대출 연체율은 △2021년 1.9% △2022년 2.2% △2023년 2.4% △2024년 2.4% △2025년 8월 말 3.3%로 꾸준히 높아졌다.
이는 경기 둔화와 고금리 장기화가 지속되면서 개인신용대출의 부실 위험이 누적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어 국내 주요 카드사별 연체 규모는 △신한카드 3670억원 △KB국민카드 2350억원 △삼성카드 2100억원 △우리카드 1770억원 △롯데카드 173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같은 연체율과 연체액 상승은 대출 이용자의 신용분포 변화가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카드론·현금서비스 이용자의 평균 신용등급은 최근 2년동안 하락했으며 중신용 이하 고객 비중이 커졌다. 카드사는 이자 수익을 유지하지 않으면 리스크 대비 수익 구조가 흔들리기 때문에 금리 인하에 신중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정부의 가계부채 관리 강화 기조도 카드대출 금리 조정에 영향을 주고 있다. 금융당국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적용 대상을 확대하고 고금리 대출 부문에 대한 점검을 강화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카드론 심사 기준이 엄격해지고 신규 대출보다 연체 방지 중심으로 정책 방향이 이동했는데, 이에 따라 카드업계는 전반적으로 대출 자산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선회하고 있다.
실제로 2025년 9월 말 기준 9개 카드사의 카드론 잔액은 41조8375억원으로 전월(42조4483억원) 대비 약 6109억원이 감소했다. 이는 올해 들어 5월 이후 4개월 연속 잔액이 줄어든 것으로, 카드사의 자산 축소 기조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시사한다.
여기에 가계부채 총량 관리와 연체율 상승에 따른 카드사의 건전성 유지 기조가 계속되면서 시장금리 하락이 카드대출 금리에 반영되지 못하는 구조가 고착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카드론은 이자 수익 비중이 높은 핵심 사업이지만, 대출 심사 강화와 금리 방어로 신규 취급이 위축되면서 전체 여신 수익 구조가 압박받고 있다"면서, "연체율 상승세가 꺾이지 않는 한, 자산 성장보다 리스크 완화에 무게를 둘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고 전했다.
이나라 기자 2country@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