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스경제=김두일 기자 | 사단법인 경기도장애인자립생활센터총연합회(대표 송기태, 이하 ‘경자연’)는 11일 오후 2시, 수원 광교 경기도의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경기도의 2026년도 예산안에서 55개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지원 예산이 기관당 6천만 원 삭감된 것을 강력히 규탄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경자연 소속 장애인자립생활센터 활동가 150여 명이 참석해 찬바람 속에서도 한마음으로 모였으며, 경기도청 집행부의 진정성 있는 사과와 현실 예산 반영, 김동연 도지사와의 면담을 촉구했다.
사회자인 이민선 경자연 권리보장위원장은 “경기도는 여러 차례 장애인자립생활 지원 예산 필요성을 약속했음에도 2026년도 예산안에서 대폭 삭감했다”며, “이는 단순 행정 조정이 아니라 장애인의 생존권을 예산으로 계산한 비인권적 결정”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송기태 대표는 여는 발언에서 “장애인자립생활 지원 예산은 선택이 아니라 권리를 지탱하는 최소한의 약속”이라며, “그 약속을 저버린다면 경기도정은 더 이상 도민의 정부가 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진형식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총연합회 상임대표는 “경기도는 장애인자립생활센터와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예산을 삭감했다”며, “이는 행정의 실패이자 반인권적 결정”이라고 지적했다.
또 용인시장애인자립생활센터 김정태 센터장은 “경기도는 장애인 자립생활 지원을 비용 절감 항목으로 취급하며 인간의 존엄을 숫자로 계산하고 있다”며, “김동연 도지사는 다른 정치 현안에는 즉각 반응하면서 장애인 지원에는 침묵하고 있다. 지금이라도 정기적 소통 창구를 마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경자연은 기자회견문 낭독과 구호 제창 후, “11월 19일까지 김동연 도지사와 공식 면담을 요청한다”며, 경기도가 장애인 자립생활 지원을 외면할 경우 60만 경기도 장애인과 함께 전면적 행동과 투쟁에 나설 것이라고 선언했다. 또한 예산 삭감 철회와 증액이 실현될 때까지 연대 투쟁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김두일 기자 tuilkim@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