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농촌지역 고령화 따른 인력난 심화…“유연한 제도 운영 시급”
남종섭 경기도의회 안전행정위원회 의원(더불어민주당, 용인3)은 11일 열린 2025년도 안성소방서 행정사무감사에서 “도농복합지역과 농어촌 지역의 의용소방대 인력 고령화가 심각한 수준”이라며 “정년 연장을 포함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경기도의회 제공
남종섭 경기도의회 안전행정위원회 의원(더불어민주당, 용인3)은 11일 열린 2025년도 안성소방서 행정사무감사에서 “도농복합지역과 농어촌 지역의 의용소방대 인력 고령화가 심각한 수준”이라며 “정년 연장을 포함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경기도의회 제공

| 한스경제=김두일 기자 | 경기도의회에서 농촌지역 의용소방대원의 정년 상향 논의가 공식적으로 제기됐다. 남종섭 경기도의회 안전행정위원회 의원(더불어민주당, 용인3)은 11일 열린 2025년도 안성소방서 행정사무감사에서 “도농복합지역과 농어촌 지역의 의용소방대 인력 고령화가 심각한 수준”이라며 “정년 연장을 포함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남종섭 의원은 “농촌지역은 인구 감소로 신규 대원 확보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며 “정년이 일률적으로 적용되기보다 지역 여건에 따라 유연하게 운영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국회에서도 정년을 65세로 유지하되, 인력난이 심각한 농산어촌 지역의 경우 최대 5년까지 연장할 수 있는 방안이 논의된 바 있다”며, “경기도 역시 농촌 현실에 맞는 ‘농촌형 의용소방대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에 대해 신인철 안성소방서장은 “면 단위 지역은 고령화로 인해 신규 대원 모집이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경기도소방재난본부와 협의해 현실적인 대안을 찾겠다”고 답했다.

남 의원은 “의용소방대는 지역 안전의 최일선에서 활동하는 핵심 조직”이라며 “농촌지역의 인력난이 지역 안전망 약화로 이어지지 않도록, 도의회 차원에서도 제도 개선 논의를 본격화하겠다”고 밝혔다.

김두일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