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신한카드가 전체 투자 자산 88%...하나카드도 그룹 차원 투자 예고
카드업계 "벤처·스타트업 투자 시 위험 부담 커...투자 리스크 여전"
올해 6월말 기준 전업 8개 카드사의 신기술금융자산은 1036억 원으로, 2022년 1086억 원 대비 소폭 감소했다. / 연합뉴스
올해 6월말 기준 전업 8개 카드사의 신기술금융자산은 1036억 원으로, 2022년 1086억 원 대비 소폭 감소했다. / 연합뉴스

| 한스경제=이나라 기자 | 국내 카드사의 신기술금융 투자가 3년째 제자리에 머물고 있다. 카드업 본업이 둔화된 속에서 신사업 확장을 모색하고 있음에도, 불구 기술금융 기능은 사실상 정체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13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전업 8개 카드사의 신기술금융자산은 1036억원으로, 2022년 1086억원 대비 소폭 감소했다. 신한카드가 912억원으로 전체의 88%를 차지했으며 삼성·하나·현대·비씨카드는 4년 연속 '0원'으로 집계됐다. 

신한카드의 경우 그룹 내 SI(Strategic Investment) 펀드를 중심으로 스타트업 및 벤처기업에 대한 간접 투자를 병행하고 있으며 신기술금융 업무 역시 이 같은 그룹 단위 투자 구조와 연계해 운영되고 있다. 

신한카드 관계자는 "그룹 차원의 '생산적 금융' 전략에 따라 신한카드 역시 신기술금융에 대한 투자가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하나카드의 경우 그룹 차원의 '하나 모두 성장 K-미래전략산업 벤처 모펀드' 조성을 통해 4년동안 총 4000억원의 모펀드를 조성하는 한편, 매년 1조원 규모의 자펀드를 결성해 4년동안 총 4조원 이상 벤처 시장에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우리카드와 롯데카드 등은 신규 투자를 소폭 확대했지만 여전히 소규모에 그치고 있으며, 다른 카드사들은 신기술금융 라이선스만 보유한 채 실질적인 운용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 같은 신기술금융에 대한 투자 정체는 제도적 경직성과 수익모델 불일치, 인력·조직 한계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금융보안 규제(망분리·클라우드 활용 제한 등)는 AI·핀테크 기업과의 협업을 통한 기술검증을 제약해, 신기술금융이 지향하는 '테스트베드형 투자' 구조와의 부조화를 낳고 있다. 또한 카드사의 자금조달 구조가 단기채 중심으로 형성돼 있어 장기회수형 투자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수익성 측면에서도 제약이 지속되고 있다. 2024년 기준 카드사 평균 총자산이익률(ROA)은 0.9%로, 2021년의 1.4% 대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즉 순이익 방어가 어려운 상황에서 장기 비수익 자산을 확대할 유인은 크지 않다는 게 업계의 공통된 설명이다. 

이에 따라 신기술금융 투자는 명목상 혁신업무로 남아 있으며 실질적 투자 확대는 구조적 제약에 부딪히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업계 전반에서 소규모·단기형 투자로 재편되는 흐름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카드업권의 성장 정체와 맞물려 신기술금융 전반의 위축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신기술금융업권에서는 지난해 열린 금융당국과 여신금융사 간담회에서 벤처투자 활성화를 위해 투자업종 제한 완화 및 금융회사의 벤처펀드 출자 시 위험가중치 완화 등을 건의했다. 그러나 이후 실질적인 후속 조치는 아직까지 이뤄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이찬진 금융감독원장도 지난 9월 여신전문금융업권 최고경영자(CEO) 간담회에서 "여전사는 신기술금융업을 통해 모험자본 공급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면서도, "최근 몇 년동안 신기술사업자에 대한 충분한 투자가 이뤄지고 있지 않다"고 지적한 바 있다. 

반면 카드업계에서는 신기술금융업이 여전히 자본적정성 규제·내부통제 요건·투자 리스크 관리 부담이 크다고 보고 있다. 

벤처·스타트업 투자 시 손실 반영 기준이 엄격하고 투자형 자산에 대한 위험가중치가 높아 재무구조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다수의 카드사는 겸영업 허가만 유지한 채 실질적 투자를 진행하지 않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는 것이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자본규제와 리스크 부담이 높은 투자형 모델 대신, 카드사는 내부 효율화와 서비스 다각화 중심의 신사업으로 방향을 조정하고 있다"면서, "결국 지난해 금융당국이 제시했던 기술금융형 혁신 방향은 뚜렷한 성과 없이 멈춰선 상황이다"고 지적했다. 

이나라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